▲영화<이별계약>의 오기환 감독이 20일 오후 서울 여의도의 한 호텔에서 오마이스타와 인터뷰에 앞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이정민
|오마이스타 ■취재/이선필 기자·사진/이정민 기자| 영화 <이별계약>을 두고 오기환 감독은 "한국 감독이 중국에 보낸 러브레터"라고 표현했다. 한·중 합작 영화로서 뛰어난 한국 스태프와 중화권 출신 배우, 그리고 한·중 자금이 함께 모였다는 게 다가 아니었다. 마음을 두드리고 그만큼 중국 관객들에게 진심으로 다가가려 한 감독의 마음이 담겨 있었던 것이다.
그의 마음이 통했던 걸까. <이별계약>은 중국 개봉 직후 단 이틀 만에 제작비 전액(약 3000만 위안, 한화 54억 원)을 회수했다. 이후 상승선을 그리며 울고 웃기다가 한화 350억 원을 넘는 수익을 올렸다. 이는 한·중 합작 영화 사상 최고의 기록이었다.
영화의 성공은 오기환 감독에게도 큰 선물이 됐다. 한국에서 그간 <선물> <작업의 정석> 등으로 특유의 멜로 감성을 전했던 그는 2008년 이후 소식이 뜸했다. 작업 면에서 스스로에게 아쉬움이 있었던 오기환 감독은 영화 공부에 박차를 가하던 상황에 <이별계약>을 만났다. 2011년 10월 무렵, 그의 영화 인생의 전환점이 온 셈이었다.
"<이별계약>은 리셋과 리스타트였다""제 나름대로는 좋은 터닝포인트가 될 것 같습니다. 중국 내에서는 할리우드 영화도 힘을 못 쓰는 상황이었는데 <이별계약>이 흥행했다는 건 정말 좋은 결과죠. 저뿐만이 아니라 출연한 배우들에게도 그럴 거예요. 다시 공부를 하며 다듬는 상황에서 온 기회였고, 한국이 아닌 중국에서 도전한다고 하니 제겐 리셋(reset)의 순간이기도 했죠." 이미 나왔던 시나리오를 중국 관객들 감성에 맞게 수정하는 게 관건이었다. 한국식 멜로라는 인상을 주기보다는 중국 정서에 맞게 상황 설정이나 캐릭터를 고쳐야 그만큼 공감도 받을 수 있을 거란 판단 때문이었다.
"세 명의 작가를 거쳤어요. 한 사람이 이야기를 구성했고, 또 한 사람이 뼈대를 세웠고, 세 번째에 스토리가 완성된 거죠. 여기까지만 9개월이 결렸습니다. 한국에 비해 짧은 기간이긴 하죠. 그래도 중국 내에선 상당히 의미 있는 기간이었습니다. 각국의 영화 산업마다 발전 단계가 있는데 한국 영화의 과거 모습이 중국의 요즘이더라고요. 20년 전 시나리오 없이 캐스팅하던 시절이 우리나라에 있었잖아요. 중국 내에서도 나름 독특한 산업 환경이 있더라고요.이걸 우리의 시선으로 보면 이상해 보이지만 중국 내부에선 나름 합리적인 시스템이었어요. 잘못 지적했다가는 시비를 건다고 느낄 수 있으니 그 부분을 조심했습니다. 문화적 다양성이란 건 결국 자기가 아닌 타자를 인정하는 거잖아요. 한국과 중국이 다 같이 맞다며 합의하는 부분이 진짜 맞는 겁니다. 글로벌 프로젝트인데 굳이 한국적인 게 필요할까요? 더 큰 세상에 나가려면 각 문화권 정서를 잘 봐야한다는 걸 느낀 거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