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준호, 박찬욱, 황동혁 감독
이정민
2019년 칸영화제와 2020년 아카데미상을 휩쓴 <기생충> 봉준호 감독, 2022년 칸영화제 감독상 수상 <헤어질 결심> 박찬욱 감독, 2022년 에미상을 받은 <오징어 게임> 황동혁 감독.
최근 한국영화를 빛내고 있는 이들 감독이 갖는 공통점 중 하나는, 다들 한국 영화운동의 영향을 받았고 그 주역으로 활동했다는 사실이다.
봉준호는 대학 재학시절 민간 시네마테크였던 이언경(감독)의 '영화공간1895'를 드나들며 영화의 꿈을 키운 경우였다. 박찬욱 감독은 1985년 서강대 영화동아리 영화공동체가 만들어질 때 초기 회원 중 한 사람이었다. 황동혁 감독은 한국영화운동의 출발과도 같은 서울대 영화연구회 얄라성 출신이다.
이들 외에 <명량> <한산 : 용의 눈물> 김한민 감독은 연세대 영화동아리 프로메테우스에서 활동했고, <말아톤> <대립군>의 정윤철 감독은 영화공간1895의 막내였다. <도둑들> <암살> <외계+인> 최동훈 감독은 서강대 영화공동체에서 활동하며 '씨앙씨에'와 '문화학교 서울'에서 영화의 꿈을 키웠다.
이렇듯 영화운동은 한국영화의 중추적인 감독들을 키워낸 근원이자 발판이었다. 1990년대 중반 이후 시작된 한국영화 르네상스 시대를 열었고, 2000년대 한류 확산에 크게 기여하면서 한국영화를 비약적으로 발전시킨 원동력이었다.
1980년대 전후 영화에 관심 있던 젊은이들이 프랑스문화원과 독일문화원에서 영화를 보고 대학에서 영화동아리를 만들었다면, 1990년대에 들어서는 대학 안에서의 창작 시도와 다양한 영화제, 시네마테크 활동 등이 곁들여지며 영화에 빠진 청년들에게 기회를 제공했다. 머릿속에서만 그리던 영화라는 '이상'을 '현실'로 만들어 낼 수 있게 한 것이다.
독재 권력에 저항했던 한국 영화운동
1960년대~1970년대 미국이나 프랑스, 독일 등에서의 영화운동은 기존의 영화적 흐름에서 탈피해 새로운 형식과 내용적 변화를 가져오는 것이었다.
반면 한국 영화운동은 여기에 더해 도드라진 특징이 있었으니, 바로 독재 권력과 맞서 온갖 검열과 제약과 걷어내고 투쟁을 통해 표현의 자유를 쟁취해냈다는 점이다. 외국 영화운동과 비교해 한국 영화운동이 갖는 큰 차이로, 영화의 변방에 있던 사람들이 기득권 체제와 맞서 끝내 중심을 차지한 역사적인 사건이었다.
한국영화의 변화를 원한 젊고 개혁적인 영화인들의 지속적인 투쟁은, 2000년대 이후 한국영화의 주도 세력 교체로 나타난다. 해방 이후 공고했던 충무로 구체제가 밀려나게 된 것이다.
1996년 시작된 부산국제영화제에 이어 1997년 막을 올린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 2000년 첫발을 내디딘 전주국제영화제 등은 한국영화가 해외로 뻗어 가는 창구로서의 역할을 했다. 이후 한국영화의 대외적인 위상은 한층 높아졌다. 영화운동이 이뤄낸 성과였다.
그렇지만 태생적으로 보수적인 권력에 맞서 투쟁으로 성장한 영화운동이었기에, 독재적인 사고를 하는 정치 권력과 부딪히는 것은 숙명과도 같았다. 한국영화 르네상스 시대를 열며 성장을 거듭하던 영화운동은 2000년대 후반 다시 집권 세력과 부딪힌다.
2008년 등장한 이명박 정권이 집권 초기 문화예술계 좌파들을 청산하겠다며 온갖 전횡을 서슴지 않은 것이다. 이는 박근혜 정권으로도 이어졌다.
어렵게 구축했던 독립예술영화관과 영상미디어센터의 성과가 심사 부정 논란을 일으킨 후 사라지다시피 했고, 주요 국제영화제가 표적이 되면서 한국영화는 곳곳에서 권력과 강하게 충돌했다. 당시 탄압을 목적으로 자행한 '블랙리스트'는 법원에서 국가범죄로 규정될 정도로 보수 권력이 세상을 군사독재 시대로 돌려놓기 위해 저지른 만행이었다. 통제와 제약의 시대로 세상을 후퇴시키려 한 음험한 술책이기도 했다.
그러나 결과적으로 이는 편향된 시선으로 문화예술을 대하던 수구세력들의 오만이었다. 이에 맞선 한국영화의 투쟁은 치열하면서도 끈질겼다. 어렵게 쟁취해낸 표현의 자유를 왜곡하고 무너뜨리려는 시도는 영화운동을 바탕으로 성장한 한국영화가 도저히 용납하기 어려운 구시대적 작태였기 때문이다.
영화운동의 정신은 살아 있었다. 지난 시간 강력한 투쟁을 통해 검열의 벽을 깨뜨렸고, 영화를 통해 노동자와 농민 등 기층 민중들의 투쟁에 함께했던 한국영화는 권력의 압박에도 주눅 들지 않고 당당하게 부딪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