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 꿈의 나라> 촬영 현장. 왼쪽부터 김동빈 감독(좌측), 스티브 역 Kurt Reinken 배우, 홍기선 감독
장산곶매 제공
한국 영화운동 역사에서 홍기선(감독)과 서울대 얄라셩은 그 출발점이었다. 1980년 5월 광주민중항쟁 이후 영화는 단순한 문화적 소비가 아닌 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도구이자 사회 변혁운동의 수단으로의 역할이 강조됐고, 그 맨 앞에 홍기선이 있었다.
그래서 홍기선을 말할 때는 항상 영화운동 1세대라는 수식어가 따라붙는다. 1979년 서울대 공대 재학시절 같은 공대생이었던 김동빈(감독), 문원립(동국대 교수)과 함께 시작한 영화연구회 얄라성 이후, 일관된 삶을 살아왔기 때문이다. 그에게 영화는 잘못된 권력에 맞서고 사회를 변화시킬 무기이기도 했다.
홍기선은 1957년 강원도 원성(현 원주)에서 아버지 홍현우와 어머니 이성필 사이의 5남 2녀 중 막내로 출생했다. 아버지는 일제 강점기 때 면서기를 했고 이후 학교 서무과장, 수리 조합장을 하다 서울로 이사 온 뒤 족보 대필 등을 했다고 한다.
홍기선의 조카인 안동규(제작자. 영화세상 대표)는 "조부 때는 부농으로 독립운동 자금도 지원해 지역의 학교에 공덕비가 세워졌을 정도였다"고 말했다. 홍기선은 안동규 어머니의 사촌동생이었다.
원주에서 자란 홍기선은 원주초등학교를 졸업하고 1970년 양양 현남의 현남중학교 입학했다. 이듬해인 1971년에는 철원의 신철원 중학교로 전학했다. 이사가 잦았는데, 초등학교 선생님이었던 맏형의 부임지를 따라다니며 살았기 때문이었다. 홍기선은 큰 형과 20년 이상 터울이었다고 한다.
이 때문에 친구가 많이 없었기에 한국 문학 전집 등 많은 소설을 읽으며 습작을 시작했고, 중학교 시절 백일장에서 많은 상을 받기도 했다. 특별히 좋아했던 것은 소설가 손창섭 작품이었다.
1973년 서울 경복고등학교에 입시에 실패한 홍기선은 1년 동안 진학에 관한 특별한 계획 없이 형들의 고학 생활과 마찬가지로 명동에서 신문 배달 생활을 하며 틈틈이 도서관과 극장을 들락거렸다. 이 시기 기억에 남는 영화로 <젊은이의 양지> <볼사리노> <미망인> 등을 꼽았다.
1977년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원자력공학과에 입학한 홍기선은 1979년 서울대 학보인 '대학신문'에 나온 광고를 보고 서울대 출신 이봉원 감독이 주선한 얄라성 모임에 참여했다. 하지만 얼마 안 가 모임의 활력이 떨어지며 흐지부지되려던 상황에서 김동빈, 문원립 등과 함께 프랑스문화원과 독일문화원을 다녔고, 여기서 강한섭(작고, 서울예대 교수) 전양준(전 부산영화제 집행위원장) 등과 만나게 된다.
안동규(제작자. 영화세상 대표)는 "비슷한 시기에 프랑스, 독일문화원을 같이 오고 갔다"며 "삼촌이 종종 집에 왔고, 공동관심사가 영화에 대한 것뿐이었다"고 말했다. 안동규는 1985년 경희대 영화 서클 '그림자놀이' 만들어 초기 대학 영화운동을 주도했기에 홍기선과 같은 영화운동 1세대였다.
하지만 안동규는 영화에만 집중하는 삼촌이 다소 못마땅했다고 한다. "서울대 원자력공학과는 졸업하면 보통 이상의 대우를 받을 수 있는 자리인데, 자기 전공 살려서 평범한 삶을 살았으면 했다"는 것이다.
물론 안동규는 충무로에서 일찍 활동을 시작했기에 홍기선의 영화제작과 <오! 꿈의 나라>가 일본에서 상영될 수 있도록 하는 데 도움을 주기도 했다. 그러나 가까운 친척으로서 집안 사정을 잘 알았기에 삼촌의 삶을 마냥 긍정하기는 어려운 위치였다.
홍기선은 문화원을 오가던 시기 장길수 감독의 단편 <환상의 벽> 제작에도 참여했다. 장길수 감독은 "독일문화원의 도움을 받아 <환상의 벽>을 촬영했는데, 엔딩 크레디트에는 올라있지 않으나 당시 시나리오를 쓴 게 홍기선이었다"고 말했다.
영화운동 뛰어들게 한 '서울의 봄'
1980년 공릉동에 있던 서울대 공대가 관악캠퍼스로 이전한 뒤 '얄라성'은 서울대 정식 서클(동아리)로 등록할 수 있게 됐다. 홍기선은 초대 회장을 맡았고, 여러 단편 영화들을 제작하기도 했다.
이때 만든 영화가 홍기선에게 새롭고도 흥미로운 경험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는 2005년 한국영상자료원이 제작한 다큐멘터리 <격동의 시대를 뛰어넘은 반란의 기록들-1970, 80년대 한국독립영화사>에서 당시의 영화작업에 대해 이렇게 회상했다.
"어떻게 보면 당시 학생들에게 정권, 사회에 대한 부담감 등의 고민이 있었는데, 이런 것을 학생 차원에서 순수하게 표현하고 30분 정도 분량으로 음악과 녹음 대화를 직접 넣어서 하는 게 처음이었기에 그것 자체가 신기했다. 영화라는 게 우리가 전혀 개인적으로 만들 수 없는 것으로 매체로 생각했는데, 10만 원 이내로 필름을 사고 현상을 맡기고 편집하고 음악과 음향을 입히고 녹음하고 상영하는 게 희열이라고 할까? 영화에 빠지게 되는 계기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