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랜 기간, 한국 대중가요를 선곡해 들려주는 라디오 음악방송 작가로 일했습니다. 지금도 음악은 잠든 서정성을 깨워준다고 믿고 있습니다. 그날에 맞춤한 음악과 사연을 통해 하루치의 서정을 깨워드리고 싶습니다. [편집자말] |
한 음절로 된 우리말, 이를테면 강·산·길·별·빛·숲·달 그리고 해 같은 말들을 입 밖으로 내뱉어 보라. 어떤 단어가 가장 여운이 오래가는가? 일단은 단 하나의 음절로 경계 없이 무한한 것들을 적확하게 표현해 낼 수 있는 우리 한글이 지닌 힘에 놀라고, 어느 하나를 집어내기가 어려울 만큼 거의 모든 단어들이 아주 길게 여운을 이끌어 마음을 풀어헤쳐지게 만든다는 데 또 한 번 더 놀라게 될 것이다.
가장 애정 하는 단어를 고른 저마다의 기준은 그야말로 백인백색일 테지만 적어도 내게 가장 아름다운 여운의 끝자락을 보여주는 단어는 '숲'이 아닐까 싶다. 지금 이 순간, 입을 벌려 '숲'이라 아주 조용하고 나직이 발음해 본다.
'수우우웊' ~~ 일부러 늘려 불러본 '숲' 덕택에 이른 더위에 지칠 대로 지쳐있는 육신을 일으켜 세우는 청량한 바람 한 줄기가 어디선가 불어오더니, 사방이 온통 초록의 물결로 넘실대는 느낌을 받게 된다. 아마도 '숲'이 지닌 생명의 원시성을 경험을 통해 익히 알고 있기 때문이리라.
그러고 보니 언제부터인가 마음이 고단해지거나 세상의 숱한 시선과 이야기들에 신물이 날 때면, 나는 '숲'을 찾아 들어가곤 했다. 아니 조금 더 정확히 얘기한다면 절집이 앉은 고즈넉하기 이를 데 없는 '숲'이라고 해야 맞을 것이다. 수행을 해야 하는 스님들이 계시는 '절집'은 주로 속세를 떠나 한적한 산에 자리할 수밖에 없다. 우리나라엔 지정학적으로 산이 굉장히 많은 데다 산이 있는 곳은 온통 초록의 숲이 무성하니, 적어도 우리나라에서만큼은 '숲'과 '절집'을 공간적 병행으로 인식해도 되지 않을까 싶다.
절집을 호위하듯 숲을 이룬 나무들 사이를 거니노라면, 그러다 나무의 등에 내 등을 맞대고 서 있노라면, 시름도 근심도, 근원을 알 수 없던 불안도 조금씩 아주 조금씩 사그라드는 것만 같았다. 그렇게 알게 모르게 숲은 나의 상처를, 문드러져 있는 마음을 쓰다듬어가며 치유하고 있었던 것이다.
경건함이 주는 절대적인 안온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