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회 부산국제영화제 기자회견
부산영화제 제공
서울을 제치고 부산영화제가 닻을 올릴 수 있었던 데는 영화제에 대한 전문성과 함께 다양한 인맥 등도 작용했다. 특히 이용관, 전양준, 김지석은 영화학자로서 영화평론가라는 공통점이 있었다.
김지석은 저서 <영화의 바다 속으로>에서 "이용관, 전양준은 1980년대부터 한국영화계와 평론계에서 활동하며 폭넓은 인적 네트워크를 구축해 왔고, 이 네트워크 덕분에 부산영화제는 폭넓은 국내외 영화계로부터 폭넓은 지지와 후원을 받을 수 있었다"고 밝혔다.
이용관은 "영화제는 평론가들이 중심이 돼야지 제작자들이나 감독 등은 자신들의 작품을 우선할 수 있다"라며 "도쿄영화제가 부산영화제에 뒤처진 이유도 제작자들이 영화제를 운영하면서 자신들의 영화를 상영하기 위해 애쓰기 때문이다"라고 말했다.
전양준은 1970년대 말부터 프랑스문화원과 독일문화원을 다니며 새로운 영화에 대한 이론적 토대를 구축했던 초기 영화운동의 중심이었다. 전찬일(영화평론가. 전 부산영화제 프로그래머)은 "대학 시절 영화 세미나에서 전양준의 지도를 받았다"고 말했다.
1980년대 <프레임 1/24> <열린영화> <영화언어>의 발행과 편집을 맡았고, 다양한 영화이론서를 펴내 주목받았다. 1985년 계간 <열린영화>에 쓴 '작은영화는 지금'에서 8mm, 16mm 영화에 대해 '작은 영화'라고 정의하며, '구호가 아닌 실천으로 연결해야 한다'는 지향점을 제시했다. 1985년 영국에 유학해 런던영화제 등에 참가하며 영화제에 대한 여러 경험과 전문성을 쌓았고 풍부한 해외 인맥을 형성하고 있었다. 당시 몇 안 되는 국제영화제 전문가였다.
신동기(신톡 감독)는 "1993년 전양준에게 서울국제영화제 구상을 이야기했던 것은 영화제에 대한 이해가 가장 깊고, 전문가이기 때문이었다"며 "당시 왜 여건도 안 좋은 부산에서 영화제를 하려고 하냐?고 묻기도 했다"고 회상했다.
오석근(전 영화진흥위원장)과 함께 부산 영화운동의 대표주자였던 김지석은 부산대 영화연구회와 부산씨네클럽 등 부산에 기반을 둔 활동을 중시했다. 대학원을 다닐 때도 서울로 통학했고, 부산을 벗어난 영화제를 조금도 생각하지 않았던 철저한 '부산주의자'였다. 부산에서 촬영한 이명세 감독 <지독한 사랑> 현장을 지휘하고 있는 오석근을 부산영화제 준비에 합류시킨 것도 김지석이었다. 오석근은 "김지석의 꼬임에 넘어간 것이었다"고 말했다.
신강호(영화평론가. 대진대 교수)는 "부산 경성대로 강의를 오면 이용관 교수가 광안리에서 회를 사줬다"며 "부산에도 프랑스문화원에서 영화를 보는 이들이 있다고 해 김지석을 소개받았다"고 말했다. 이어 "김지석이 부산영화제의 설계자였고, 영화제에서 진행하는 각종 프로그램의 이름 등 세세한 부분들이 김지석의 손을 거쳐 결정됐다"고 덧붙였다.
김지석은 저서 <영화의 바다 속으로>에서 "이용관이 경성대 교수였고, 전양준이 경성대로 강의하러 내려오는 날은 오석근 등 네 사람이 술자리에서 영화에 대한 열띤 토론을 벌였다면서 다음날 새벽에야 끝을 보는 날이 허다했는데, 술을 전혀 못 하는 나는 고역이었다"고 회상했다.
이용관은 "영화제를 만들어 주겠다고 하자 김지석이 못 먹는 술을 벌컥 들이마셨던 일도 있었다"고 말했다.
부산영화제 선장 김동호
영화평론가들이 중심이었던 부산영화제 기획 과정에서 행정관료였던 김동호(강릉국제영화제 이사장)를 집행위원장으로 영입한 것은 묘수였다. 이용관, 전양준, 김지석 등은 영화 전문가들로 전체적인 운영을 책임지기 어려웠다. 행정적인 부분과 예산 마련을 위해서는 총괄할 사람이 필요했다. 김지석은 <영화의 바다 속으로>에서 "영화제 밑그림을 그리면서 선장을 영입하기로 했고, 후보는 자연스럽게 김동호로 압축됐다"고 회상했다.
1995년 8월 18일 서울 프라자호텔에서 김동호와 이용관 전양준 김지석 3인이 마주하게 된다. 김동호는 2011년 국민일보에 연재한 '김동호의 씨네마 부산'에서 "처음에는 망설였다"며 "이유는 영화제를 만들겠다는 젊은 사람들 말만 믿고 참여했다가 망신만 당했던 일이 생각났기 때문이었다"고 밝혔다.
김동호에 따르면 공연윤리위원회(이하 공륜) 위원장이던 1994년 9월 어느 대학 영화과 교수의 요청으로 '국제에버그린영화제' 조직위원을 맡게 된다. 에버그린영화제는 환경영화제로 그린스카우트, 환경관리공단, 신명기획이 중심이 된 서울국제영화제조직위원회가 준비한 행사였다.
공륜위원장이 영화제에 관여하는 게 부적절해 보일 수도 있었으나 전국극장연합회 강대진 회장, 서울시극장협회 곽정환 회장, 한국영화협동조합 강대선 이사장 등에게도 조직위원 참여를 부탁했고, 가장 우려하고 있던 초청 영화에 대한 공륜 심의 면제를 약속한 상태였다.
그런데 1994년 10월 29일 개막을 예정했던 국제에버그린영화제는 직전에 취소된다. 동아일보는 1994년 10월 24일 자 기사에서 "영화제 집행위 측이 '공륜 심의와 관련 해외 출품 관계자들이 이미 국제영화제에 출품된 작품들에 대해 사전 심의를 하겠다는 것은 모독이라며 반발한 데다 영화제 개막 후 출품자가 작품을 직접 가지고 오는 상황에서 심의를 위한 해외 작품 일괄 제출이 불가능하다'는 이유를 밝혔다"고 보도했다.
이에 대해 김동호는 "앉은 자리에서 벼락 맞듯 황당하기 짝이 없었고, 해명할 여유도 없었다"며 "취소의 주된 이유는 스폰서를 구하지 못한 채 졸속으로 추진했기 때문으로 국제적 망신이었다"고 회상했다.
그래서 1년 만에 또다시 젊은 교수들에게 비슷한 제의를 받다 보니 망설일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그러나 세 사람의 집요한 설득에 승복하게 되다. 김동호는 "그들의 말에서 뜨거운 열정을, 표정에서 굳은 의지를 읽었다"며 "5억 원을 지원받는다면 거기에 조금만 보탤 경우 국제영화제를 개최할 수 있겠다고 단순하게 생각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