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사안보지원사, 김재규 사진 다시 걸고 전두환-노태우 사진 내린다

<경향신문> 7일 보도... 개정되는 '국방장관 및 장성급 지휘관 사진 게시 규정'에 따라 조치

등록 2018.08.07 09:50수정 2018.08.07 17:23
20
원고료로 응원
a

김재규 전 중앙정보부장. 사진은 1980년 1월 23일 박정희 대통령 시해사건 항소심 2차 공판 당시 사진. ⓒ 연합뉴스


[기사 보강 : 7일 낮 1시 27분]

1979년 10·26 사건 당시 박정희 전 대통령을 시해한 김재규 전 중앙정보부장의 사진이 다음 달 초 국군기무사령부(아래 기무사)를 대체해 창설되는 '군사안보지원사령부'에 걸릴 것으로 알려졌다.

<경향신문>에 따르면 국방부는 역대 지휘관 사진물에 대한 구체적 지침을 담은 '국방장관 및 장성급 지휘관 사진 게시' 규정 등 부대관리훈령 개정(안)을 장·차관 보고를 거쳐 이달 중 시행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기무사 전신인 육군보안사령부의 제16대 사령관을 지낸 김 전 중앙정보부장의 사진이 군사안보지원사령부에 걸리게 된다. 김 전 중정부장이 지휘했던 육군 3군단과 6사단 등 부대들도 역대 지휘관 명단에 그의 다시 사진을 걸 수 있게 됐다.

조선국방경비사관학교(육군사관학교의 전신)를 2기생으로 졸업한 김 전 중정부장은 1963년 6사단장, 1966년 6관구 사령관과 방첩대장, 1969년 육군보안사령관, 1971년 제3군단장 등을 거친 뒤 중장으로 예편했다. 이후 1973년 유신정우회 소속으로 제9대 국회의원이 돼 정치에 입문했다가, 1976년 12월 중앙정보부장에 임명됐다.

지금까지 군은 군 통수권자인 박정희 전 대통령을 살해했다는 이유로 김 전 중정부장의 사진 게시를 금기시해 왔다. 군은 전두환 신군부가 실권을 잡은 1979년 12·12 쿠데타 이후 김 전 중정부장 사진을 전 군 부대에서 떼어냈고, 김 전 중정부장이 거쳤던 부대의 기록물에서도 그의 이름을 삭제했다.

기무사는 지난 2월 초 정치 중립 준수를 선언하면서 보안사령관을 지낸 김 전 중정부장 사진을 부대 내에 다시 걸려고 했으나, 기무사 출신 예비역 장성들의 반발이 잇따르자 이 같은 결정을 철회한 바 있다.


<경향신문>에 따르면 국방부는 예우 및 홍보 목적의 경우 '부패 및 내란·외환죄 등으로 형이 확정된 지휘관' 사진의 부대 홍보관 게시는 금지한다는 방침이다.

때문에 제20대와 21대 국군보안사령관을 각각 지낸 전두환·노태우 두 전직 대통령의 경우, 군사안보지원사령부 홍보관 내 사진 게시는 금지될 것으로 보인다. 두 사람 모두 내란죄로 실형을 선고받았기 때문이다. 다만 재임 기록의 의미로 두 전직 대통령의 사진을 역사관이나 회의실 등에 걸어둘 수는 있다.

한편, 이진우 국방부 부대변인은 7일 "역대 사령관 사진은 역사관으로 이관해서 역사 기록차원에서, 보존 차원에서 게시돼 있는 것으로 안다"라며 "다만 이후에 군사안보지원사령부가 창설됐을 때 역사관을 그대로 운영할지 여부는 이후에 판단 내릴 문제라고 생각한다"라고 밝혔다.

일각에선 군사안보지원사령부가 과거 역사와 단절하는 새로운 군 정보부대로 창설되는 만큼 모든 역대 사령관의 사진을 게시하지 않을 것으로 전망하기도 한다.

국방부 관계자는 "새로 창설되는 안보지원사의 사령관은 (과거 보안사와 기무사로부터 이어지는) 45대 사령관이 아니라 제1대 군사안보지원사령관"이라며 과거와는 단절된 새로운 정보부대가 창설되는 것임을 강조했다.

a

1988년 1월 5일, 전두환 당시 대통령이 노태우 차기 대통령의 예방을 받고 새해 인사를 나누며 악수하고 있다. ⓒ 연합뉴스


#김재규 #기무사 #전두환 #노태우 #군사안보지원사
댓글20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 김도균 기자입니다. 어둠을 지키는 전선의 초병처럼, 저도 두 눈 부릅뜨고 권력을 감시하는 충실한 'Watchdog'이 되겠습니다.

AD

AD

AD

인기기사

  1. 1 캐나다서 본 한국어 마스크 봉투... "수치스럽다"
  2. 2 황석영 작가 "윤 대통령, 차라리 빨리 하야해야"
  3. 3 300만명이 매달 '월급 20만원'을 도둑맞고 있습니다
  4. 4 샌디에이고에 부는 'K-아줌마' 돌풍, 심상치 않네
  5. 5 '25만원 지원' 효과? 이 나라에서 이미 효과가 검증되었다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