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정명근 화성시장이 18일 시청 대회의실에서 시정브리핑을 하고 있다.
 정명근 화성시장이 18일 시청 대회의실에서 시정브리핑을 하고 있다.
ⓒ 화성시

관련사진보기

 
정명근 화성시장은 18일 "동탄 트램의 기본설계가 마무리 단계"라며 "내년 1월부터 입찰공고, 실시설계 등을 거쳐 사업을 적기에 추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경기 화성 동탄1·2신도시와 병점·망포·오산역 등 주변 전철역을 연결하는 '동탄 트램' 건설이 내년부터 본격화할 전망이다.

정명근 시장은 이날 시청 대회의실에서 시정브리핑을 열고 이같이 말했다. 정 시장은 특히 "트램은 친환경적이고 안전하며 운행 지연이 거의 없는 적시성을 갖추고 있다"며 "단순한 출퇴근 수단을 넘어 신개념 교통수단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병점역~동탄역~차량기지, 망포역~동탄역~오산역 구간 2개 노선 조성

오는 2027년 12월 개통을 목표로 하는 동탄 트램은 경기도 일대에 들어서는 첫 트램이 될 전망이다. 동탄 트램은 수원시 영통구 수인분당선 망포역부터 1호선 오산역까지 16.4km를 잇는 구간과 1호선 병점역부터 동탄2신도시 공영차고지까지 17.8km를 잇는 구간 등 2개 노선(총연장 34.4㎞)으로 건설된다. 노선 내에는 정거장 36곳과 차량기지 1곳이 들어선다.

정명근 시장은 "동탄 트램은 우리나라에서는 서울에 이어 전국 두 번째이자 경기도 최초로 시행되는 사업"이라며 "동탄신도시와 수원, 오산 주요 거점을 동탄역과 연결함으로써 광역교통망을 연계하는 중추적 역할을 수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트램 차량의 전력 공급은 '슈퍼캐퍼시티+배터리' 방식을 적용한 무가선 트램 32편성으로 결정했다. 2024년부터 건설 부문 실시설계와 트램 차량 제작 설계에 들어간다.

이와 관련 정명근 시장은 "(슈터캐퍼시티+배터리 방식과) 유사한 형태의 운영회사인 중국 광저우 지하철 그룹과 대만 가오슝시 도시철도 운영사 KRTC를 방문해 운영상의 대비점을 파악했다"고 설명했다. 정 시장은 이어 "광저우와 가오슝시 운영 사례를 통해 시민 안전과 신뢰를 최우선으로 확보하면서 전문적이고 효율적인 경영으로 운영비를 절감하는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정명근 화성시장이 18일 시청 대회의실에서 시정브리핑을 하고 있다.
 정명근 화성시장이 18일 시청 대회의실에서 시정브리핑을 하고 있다.
ⓒ 화성시

관련사진보기

 
사업에는 한국토지주택공사(LH) 9,200억 원, 화성시 461억 원, 오산시 95억 원, 수원시 17억 원 등 총 9,773억 원의 예산이 투입된다.

화성시는 이달까지 기본설계용역을 마친 뒤 내년 1월 실시설계를 위한 입찰공고를 낼 예정이다. 이후 내년 6월에는 착공에 들어가고, 내년 말까지 실시설계와 사업계획승인 신청을 마무리 짓겠다는 복안이다.
   
정명근 "청년 위한 조력자 될 것"... '청년취업 끝까지 지원센터' 사업 등 추진

한편 정명근 시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청년이 홀로 일어설 수 있도록 든든한 조력자가 되겠다"면서 '청년취업 끝까지 지원센터', '1만 원 청년 희망상가' 등 청년 취·창업 주거 안정 지원 확대 방안도 제시했다.

정 시장은 "청년들이 현실에서 취업과 주거 문제 등 경제적인 어려움으로 고통받는 경우가 많다"면서 "청년 취업은 단순히 경제적인 문제를 넘어 자존감 있는 삶과도 연결된다"고 말했다.
 
정명근 화성시장이 18일 시청 대회의실에서 시정브리핑을 하고 있다.
 정명근 화성시장이 18일 시청 대회의실에서 시정브리핑을 하고 있다.
ⓒ 화성시

관련사진보기

 
이에 따라 화성시는 청년 취업을 지원하기 위해 연내 '청년취업 끝까지 지원센터'를 만들어 관내 우수기업과 청년 인재를 매칭하는 사업을 추진한다. 센터는 일자리 연결은 물론 취업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프로그램도 지원한다.

청년 창업자들이 월 1만 원만 내면 상가에 입주할 수 있도록 임차료를 지원하는 '1만 원 청년 희망상가'도 추진할 예정이다. 임대료 중 50%는 LH의 '희망상가 사업'에서 지원하고, 나머지 50% 중 1만 원을 뺀 금액은 시에서 지원하는 사업이다.

정명근 시장은 또 "청년들이 미래를 설계하기 위해서는 종잣돈이 필요한데 높은 주거비로 가처분소득이 줄어드는 경우가 많다"면서 "시에서는 전세 대출금의 연 2%(최대 200만 원)를 지원하는 '청년 전월세 보증금 대출이자 지원사업'과 월 임차료 최대 15만 원(6개월 한도)을 지원하는 '청년 월세 지원사업'을 계획하고 있다"고 밝혔다.

태그:#정명근, #화성시, #동탄트램, #청년취업끝까지지원센터, #광역교통망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사실 너머의 진실을 보겠습니다. <오마이뉴스> 선임기자(지방자치팀)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