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사진은 지난 4월 5일 서울 여의도 국회 본회의장에서 열린 교육·사회·문화에 관한 대정부질문에서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는 모습.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사진은 지난 4월 5일 서울 여의도 국회 본회의장에서 열린 교육·사회·문화에 관한 대정부질문에서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는 모습.
ⓒ 남소연

관련사진보기

   교육부가 대통령에게 업무보고했던 '교육전문대학원(아래 교전원) 시범운영' 계획을 세 달 반 만에 유보했다. 예비교사들의 반발에 이어 전국교원양성대학교 총장협의회까지 우려를 나타내자 태도를 바꾼 것이지만, '성급한 업무보고가 혼란을 초래했다'는 지적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교원양성대 총장협 '유보 제안' 하루 만에 교육부 발표

21일 교육부는 설명자료에서 "교전원 시범운영 방안 논의를 당분간 유보하되, 시급한 과제인 현 교원양성기관의 교육과정 개선과 새로운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논의에 집중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교전원 유보 이유에 대해 교육부는 "'교전원 시범운영 방안을 마련하겠다'는 내용을 올해 업무계획에 담아 발표한 이후,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참여하는 협의체를 운영해왔다"면서 "현재까지의 논의 진행과정에서 '교원양성체제 개편이 필요하다'는 큰 틀의 공감대가 형성되었으나 우선은 현 교원양성과정의 개선이 시급하다는 의견이 많았다"고 설명했다.

하루 전인 20일 전국교원양성대학교 총장협의회는 입장문을 내어 "교육부는 원만한 합의에 도달할 때까지 교전원 시범 운영 계획을 유보하되, 시대 소명으로 제안된 양성 체제 개편 논의 자체가 실종되지 않고 계속 발전되도록 최선의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제안한 바 있다.
 
지난 1월 5일 교육부가 대통령에게 보고한 업무계획 내용.
 지난 1월 5일 교육부가 대통령에게 보고한 업무계획 내용.
ⓒ 교육부

관련사진보기


전국교원양성대학교 총장협의회 교원양성체제연구위원장을 맡고 있는 이혁규 청주교대 총장은 <오마이뉴스>에 "일단 교육부의 교전원 시범 운영 논의 유보를 환영한다"면서도 "다만 오랜만에 본격 논의를 시작한 양성 체제 개편 의제의 동력이 상실되지 않도록 모든 주체들이 노력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 총장은 "이 주제에 대한 논의는 입법부와 국가교육위원회 등 좀 더 폭넓은 주체들이 참여하는 협의체 운영이 바람직하다. 총장협의회는 앞으로 교원양성체제 개편 논의가 바람직한 결실을 맺을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동안 전국교육대학생연합 등 예비교사 단체들은 "교전원 운영방안은 졸속 정책"이라면서 반대 집회 등을 벌여온 바 있다.

국회 교육위 강득구 의원실은 지난 2월 14일, "전국의 현직·예비 교원, 학부모, 시민, 교수 등 교육주체 3만19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교전원 도입' 정책에 대해 응답자의 81.5%가 '동의하지 않는다'고 답했다"라고 발표한 바 있다.

대통령 업무보고 내용, 뒤집고 미루는 교육부

한편, 교육부는 지난 1월 5일 대통령 업무보고에서 "미래역량 함양, 교육현장 연구‧실습을 기반으로 대학원 수준 교원양성 및 교‧사대 혁신 지원을 위해 '교전원 시범운영 방안'을 2023년 4월까지 마련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교육부는 계획된 달에 '교전원 시범운영 방안'을 내놓는 대신 '운영 유보'를 발표한 것이다.

교육부는 대통령 업무보고에서 "2023년 3월까지 중장기 교원수급계획을 수립하겠다"고 밝혔지만, 이 또한 미루다 4월 중에 발표할 예정이다.  

태그:#교육부, #교육전문대학원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에서 교육기사를 쓰고 있습니다. '살아움직이며실천하는진짜기자'가 꿈입니다. 제보는 bulgom@gmail.com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