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김승겸 합참의장이 2일 한·미 연합 특수작전훈련 현장을 찾아 연합작전 수행태세를 점검하고 있다.
 김승겸 합참의장이 2일 한·미 연합 특수작전훈련 현장을 찾아 연합작전 수행태세를 점검하고 있다.
ⓒ 합동참모본부 제공

관련사진보기

 
김승겸 합참의장(육군 대장)이 갈수록 증대되고 있는 북한의 도발 위협에 대비한 한미 연합 특수작전훈련 현장을 찾아 작전수행절차를 점검하고, 장병들과 함께 '결전준비' 의지를 확고히 다졌다고 합동참모본부(합참)이 밝혔다.

2일 합참에 따르면 한미는 연례 연합 특수작전훈련인 'Teak Knife(티크 나이프)' 훈련을 지난 2월 초부터 실시하고 있으며, 이번 주는 특수전 요원에 의한 실항공기 화력유도훈련을 통해 전시 적 지역의 표적을 강력한 항공화력으로 정밀 타격하는 작전수행절차를 숙달하고 있다.

한미 특수작전훈련은 연례적인 훈련이지만, 군 당국이 훈련 내용을 공개한 것은 이례적이다.

특히, 이번 훈련에는 유사시 한반도에 전개하는 미 공군의 항공타격 자산 AC-130J가 최초로 한반도에 전개됐다. '(하늘을) 나는 전함'란 별명을 갖고 있는 AC-130J는 대표적인 특수작전용 기체로, C-130 수송기를 개조해 대량의 지상 지원화기를 장착하고 있다.

훈련에서 AC-130J는 10,000ft(약 3km) 이상 상공에서 30mm 기관포, 105mm 곡사포뿐만 아니라 AGM-114(헬파이어), AGM-176(그리핀), GBU-39(SDB) 등 정밀유도무기로 표적을 정확히 타격하는 훈련을 실시하고 있다고 합참은 설명했다.
 
미 공군의 대표적인 특수작전 항공기 AC-130J
 미 공군의 대표적인 특수작전 항공기 AC-130J
ⓒ 합동참모본부 제공

관련사진보기

 
훈련기간 중 김승겸 합참의장은 AC-130J가 전개되어 있는 비행기지를 직접 방문하여 실제 작전 시 운용될 무장과 임무수행절차를 점검했다. 이 자리에서 김 의장은 "실전적인 연합 특수작전훈련을 통해 적 핵심시설을 한 치의 오차 없이 타격하는 능력을 갖추고, 한미 간 상호운용성을 향상하여 전시 연합작전 수행태세를 완비해 줄 것"을 당부했다.

또한, 전시 적 지역에 침투하여 공중화력유도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하는 한미 특수전 장병들의 작전태세를 점검하며, 김 의장은 "갈수록 노골화되고 있는 북한의 도발 위협에 대비하여 언제, 어떠한 임무가 부여되더라도 적에게 치명적인 피해를 입혀 상황을 승리로 종결시킬 수 있는 능력과 태세를 항상 갖출 것"을 강조했다.

김 의장의 연합 특수작전훈련  '티크 나이프' 현장방문은 북한의 연이은 도발과 한미연합 훈련·연습에 대한 위협적 발언이 이어지는 가운데, 본격적인 '23 자유의 방패(Freedom Shield·FS) 연습을 앞두고 적 도발에 대비한 압도적 응징태세와 한미연합 방위태세를 점검하기 위해 이루어졌다고 합참은 밝혔다(관련 기사: NSC, 북한 탄도미사일 발사에 "심각한 도발, 강력 규탄").

태그:#연합 특수작전, #김승겸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 김도균 기자입니다. 어둠을 지키는 전선의 초병처럼, 저도 두 눈 부릅뜨고 권력을 감시하는 충실한 'Watchdog'이 되겠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