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경북 성주 주한미군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기지 지상 접근 정상화를 위한 정부 당국의 조치가 본격적으로 시행됐다. 4일 사드 반대 단체인 소성리 종합상황실에 따르면 이날 오전 1시 30분께 주한미군과 군 장비가 사드 기지에 반입됐다. 사진은 이날 새벽에 이뤄진 사드 기지 공사 장비 반입 모습. (사드 철회 소성리 종합상황실 제공.)
 경북 성주 주한미군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기지 지상 접근 정상화를 위한 정부 당국의 조치가 본격적으로 시행됐다. 4일 사드 반대 단체인 소성리 종합상황실에 따르면 이날 오전 1시 30분께 주한미군과 군 장비가 사드 기지에 반입됐다. 사진은 이날 새벽에 이뤄진 사드 기지 공사 장비 반입 모습. (사드 철회 소성리 종합상황실 제공.)
ⓒ 연합뉴스

관련사진보기

 
(성주·서울=연합뉴스) 홍창진 김지헌 기자 = 경북 성주 주한미군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기지 지상 접근 정상화를 위한 군과 정부 당국의 조치가 본격적으로 시행됐다.

4일 사드 반대 단체인 소성리 종합상황실에 따르면 이날 오전 1시 30분께 주한미군과 군 장비가 사드 기지에 반입됐다. 반입이 심야에 이뤄진 것은 미측의 야간 작전 소요에 따른 것으로 전해졌다.

국방부는 상시로 물자와 장비의 지상 이동 및 수송을 보장하겠다고 밝힌 만큼 다른 미군기지처럼 사드 기지도 필요할 때 언제든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차원에서 이를 지원한 것으로 알려졌다.

주한미군과 국방부가 지난해 5월부터 사드 기지 내 한미 장병 생활관 리모델링 공사를 하면서 휴일에 장비 등을 반입한 것은 처음이다.

당국은 지금까지 매주 2∼3차례 공사 자재와 인력, 생활 물품 등을 차량으로 반입하다가 지난 6월부터 반입 횟수를 주 5회로 늘렸다.

정부가 8월 말까지 '사드 기지 정상화'를 밝히며 지상 접근을 주 7일로 확대하겠다고 시사한 바 있어 이런 계획을 본격적으로 시행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이날 기지에 반입된 것은 불도저 등 공사 장비, 유류차 1대, 승합차 등으로 10여 대에 달한다.

차량 소리를 듣고 달려 나온 주민들이 항의했다. 소성리 종합상황실은 "경찰과 국방부 측이 '주말 내에는 (반입) 작전이 없다'며 안심하라는 말을 했는데 야음을 틈타 기습적으로 들어갔다"고 비판했다.

앞서 지난 3일 사드에 반대하는 6개 단체는 사드 기지 입구인 진밭교에서 주민과 반대 단체 회원 1천여 명이 참가하는 사드 기지 정상화 반대 집회를 열었다.

정부는 주민 반발이 이어지고 있는 만큼 앞으로 당분간은 완전한 상시 자유 출입보다 미측이 원하는 시간대에 현장 경찰 등과 협의해서 출입 시점을 조율하는 방안을 추진할 전망이다.

아울러 사드 기지 정상화와 관련해 고속도로 건설 등 성주군이 요청한 6개 주민지원사업을 조속히 시행하는 등 지역 주민들과의 소통도 강화하면서 논란을 최소화한다는 방침이다.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태그:#연합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바른 언론 빠른 뉴스' 국내외 취재망을 통해 신속 정확한 기사를 제공하는 국가기간뉴스통신사입니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