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 김시연

관련사진보기


ⓒ 김시연

관련사진보기


ⓒ 김시연

관련사진보기


다시 '자출'을 시작했습니다. 지난 2006년 오마이뉴스에서 자출사(자전거로 출퇴근하는 사람들) 등과 함께 '자전거는 자전차다' 기획을 한 지 10년만인데요. 당시 자전거로 자가용, 대중교통과 각각 출근 경주도 벌였는데 아쉽게 자동차엔 패했지만 대중교통보다는 조금 빨랐습니다.

그 사이 회사가 광화문에서 상암동으로 옮기면서 자전거 출퇴근도 중단했습니다. 출퇴근거리가 멀어지면서 전용차로와 언덕길을 넘어야 했기 때문이죠. 종종 집에서 전철역까지 자전거로 오가기도 했는데, 그나마 오래 가지 않았습니다.

마침 얼마전 우리 동네에 서울시 공용자전거 '따르릉'이 들어오면서, '자출'에 재도전하게 됐습니다. 아직은 동네 전철역에 거치대가 없어, 회사에서 근처 전철역만 오가는 반쪽짜리 자출이지만.

서울자전거에서 6개월짜리 이용권도 끊었습니다. 하루 1시간 이용료는 1000원이지만 한 달은 5000원, 6개월은 1만5000원, 1년은 3만 원입니다. 10만~30만 원 정도인 자전거 사서 5~10년 정도 타는 것과 엇비슷합니다. 더구나 내가 안타는 시간에도 다른 사람들이 이용할 수 있으니 진정한 공유경제죠. 여러분 주변에 '서울자전거'가 있다면 바로 '자출'에 도전해 보시죠.

버스-지하철, 자전거에 22분 차 '완패'
'토끼' 자동차에 도전장 낸 '거북이' 자전거의 즐거운 패배

#자전거_출퇴근

▶ 해당 기사는 모바일 앱 모이(moi) 에서 작성되었습니다.
모이(moi)란? 일상의 이야기를 쉽게 기사화 할 수 있는 SNS 입니다.
더 많은 모이 보러가기


태그:#모이, #자전거, #자출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 사회부에서 팩트체크를 맡고 있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