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박근혜 대통령.
 박근혜 대통령.
ⓒ 연합뉴스

관련사진보기


박근혜 대통령이 내달 10일 조선노동당 창건일을 앞두고 장거리 로켓 발사 의지를 내비친 북한에 대해 경고하고 나섰다. 박 대통령은 <블룸버그통신>과 한 서면 인터뷰에서 "만약 북한이 유엔 안보리 결의에 위배되는 도발행동을 강행한다면 분명 대가를 치를 것"이라고 말했다.

최근 북한은 지난 5월 건설한 새 위성관제소를 미국 CNN에 공개하면서 '인공위성 발사' 임박을 시사했다. 이에 대해 박 대통령은 북한의 인공위성 발사 역시 유엔 안보리 결의안에 위배되는 장거리 로켓 사용임을 꼬집고 나선 것이다.

25일 공개된 이 인터뷰는 박 대통령의 미국 출국을 앞두고 청와대에서 진행한 것이다. 박 대통령은 이날부터 28일까지 미국 뉴욕을 방문, 유엔개발정상회의와 유엔총회에 참석한다.

박 대통령은 이 인터뷰에서 북한을 "한국의 안보에 대한 위협이자 한반도 통일 달성을 위한 잠재적 동반자"라고 표현했다. 즉, 북한의 도발에는 단호하게 대응하되, 다양한 교류·협력을 통해 남북 간 신뢰를 쌓아간다는 기존 입장을 재차 밝힌 것이다. <블룸버그통신>은 "(박 대통령이) 남북통일은 인구고령화와 저성장 등 '중대한 구조적 위기'를 해결하는 하나의 길이라고 밝혔다"라고도 전했다. 

특히 박 대통령은 "한국 정부는 미국을 비롯한 국제사회와 긴밀히 공조하면서 북한의 추가도발을 막기 위해 모든 외교적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라며 "만약 북한이 핵 포기를 선택한다면 국제사회와 협조해 다양한 지원을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오는 10월 또는 11월 열릴 것으로 예상되는 한중일 정상회담과 관련 "3국 정상이 북핵을 비록한 주요 현안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북핵 대응의 공통분모를 확대하는 중요한 기회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일본, '안보법안' 향한 국내·외 우려 충분히 감안해야"

한편, 박 대통령은 일본의 안보법안 통과에 대해서도 비판했다. 일본은 최근 집단자위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규정한 안보법안 11개를 강행 처리하면서 '전쟁 가능한 국가'로 탈바꿈했다.

이에 대해 박 대통령은 "일본 정부는 최근 통과된 방위안보법률과 관련된 일본 국내·외의 우려를 충분히 감안해야 할 것"이라며 "이 법안이 확대해석되어서는 안 된다"라고 말했다.

이번에 처리된 일본의 방위법안은 타국에 대한 공격에 집단자위권을 행사하고 미국에 대한 후방지원 범위를 전 세계로 넓히는 것이 골자다. 이 때문에 일본군이 미국의 후방지원을 명분 삼아 한반도에 재출병할 가능성이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박 대통령은 여기에 분명히 선을 긋고 나선 것이다.

다만, 박 대통령은 한일 관계에 대해서는 "상호 신뢰를 바탕으로 앞으로 나아가야 한다"라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한일 양국 교역이 감소하는 것은 양국 모두에 이롭지 않다고 생각한다"라며 "우리 정부는 한일 양국 간 상호 투자 활성화와 제3국 공동 진출 등을 통해 상생관계를 강화하여 양국 간 경제협력이 확대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태그:#박근혜, #북한, #장거리 미사일, #일본 안보법안
댓글4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