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유정복 인천시장
 유정복 인천시장
ⓒ 인천시

관련사진보기


유정복 인천시장이 전임 송영길 시장의 재개발 정책을 존중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송 전 시장은 재임시절 전면 철거방식을 벗어나 원도심 주거지 보전과 개량보수 방식으로 전환했다. 또 정비구역 지정 요건을 대폭 강화하고 사업추진이 미비한 구역은 지정을 해제하는 출구전략을 썼다.

손철운(새누리당, 부평3선거구) 시의원은 지난달 말 인천시의회 본회의를 통해 인천시 재개발 정책에 대한 현안 질문을 했다. 손 의원은 시의 재개발, 재건축 사업이 부동산 경기침체로 중단돼 주민 간 갈등 양상이 최고조에 이르렀다고 지적했다. 또 지정구역 해제를 놓고 재개발 추진위와 비상대책위 간 다툼도 끊이지 않고 있다고 질타했다.

손 의원은 ▲ 추정분담금 정보공개와 구역해제를 위한 주민의사를 묻는 찬반 설문조사로 인한 부작용 ▲ 시공사에 의해서 빌려 쓴 매몰비용으로 인한 소송과 분쟁 심화 ▲ 조합 임원과 조합원 간 재산가압류 소송 증가 등의 사례를 언급했다.

손 의원은 유 시장에게 '송 전 시장의 출구전략 이행 여부', '정비사업 구역 축소에 따른 추가 지정해제 여부', '매몰비용 재원 마련', '추진 가능한 정비사업의 별도 지원 대책' 등에 대한 정책 질의를 했다.

송 시장의 재개발 정책은 존중...현실은 예산 삭감?

손철운 시의원은 유정복 시장에게 인천시 재정자립도와 부채가 전국 최악이라며 책임 시정을 펼칠 것을 강하게 주문했다. 사진은 손철운 시의원의 본회의 질의 모습
 손철운 시의원은 유정복 시장에게 인천시 재정자립도와 부채가 전국 최악이라며 책임 시정을 펼칠 것을 강하게 주문했다. 사진은 손철운 시의원의 본회의 질의 모습
ⓒ 인천시의회

관련사진보기


이에 유 시장은 재개발 정책 방향의 변화된 양상을 공감한다고 답했다. 유 시장은 전면 철거에서 보전·개량 등 원주민 재정착 정책, 지역의 특성과 정체성을 고려한 정비방식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유 시장은 또 추진 구역과 해제 구역의 주민 의사를 적극 반영하겠다고 약속했다. 즉 전면 철거가 필요 없는 구역은 자진해산 또는 직권해제를 시행하겠다고 말했다. 또한 재개발 사업이 단순한 물리적 환경개선을 넘어 주민과 소통하는 커뮤니티 증진, 친환경 정비로 전환하겠다고 답했다.

매몰 비용에 대해서도 유 시장은 추진위 해산까지 도시정비기금으로 충당하겠다고 언급했다. 그는 "조합 해산 시까지 지원이 가능하도록 법령 개정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을 해 나가면서 재원 마련을 위해 재정형편이 나아지는 대로 도시정비기금을 최대한 적립해 나가도록 하겠다"고 답했다.

덧붙여 유 시장은 사업의지가 확고한 지역에 대해 용적률, 임대주택 비율, 과도한 기부채납 완화 등의 적극적인 제도지원을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인천시는 송영길 전 시장이 진행했던 원도심 저층주거지관리사업 예산을 대폭 삭감해 논란이 됐다. 시는 지난 8월 추가경정예산 중 해당 사업 예산을 328억 원에서 34억 원으로 90%나 삭감했다. 이에 동구 배다리, 남구 석정마을 등 10개 지역 주민들이 반발했다. 현재 이 사업의 내년도 예산은 60억 원으로 조정돼 편성됐다.

덧붙이는 글 | <인천불교신문> 공동 게재



태그:#유정복 시장, #송영길 시장, #재개발, #손철운 시의원, #원도심저층주거지관리사업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