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얼어 죽다

매헌 윤봉길 의사
 매헌 윤봉길 의사
ⓒ 매헌기념관

관련사진보기

우리나라에서는 1년 가운데 소한과 대한 사이인 이즈음이 가장 춥다. 그래서인지 거기에 따르는 속담도 많다.

"소한 추위는 꾸어다가도 한다."
"소한이 대한의 집에 몸 녹이러 간다."
"대소한에는 소 대가리가 얼어 터진다."

이 속담들은 소한과 대한의 추위가 몹시 지독하다는 말이다. 우리나라 보다 훨씬 위도가 높은 중국 동북삼성인 만주의 추위는 섭씨 영하 30~40도로 한 겨울에는 그야말로 살을 에는 추위라고 한다.

나는 항일유적답사로  네 차례 동북지방을 다녀왔다. 매번 봄이나 여름에 가다가 꼭 한 번 초겨울에 갔다. 2009년 10월 말에 하얼빈에 갔는데 그때 그곳은 섭씨 영하 15도 정도인데다가 모진 강풍으로 체감온도는 영하 20도는 된 듯하여 몹시 고생한 적이 있었다.

그런데 그런 강추위에도 관동군과 맞서 독립운동을 한 독립전사들이 있었다. 그 당시 독립군들은 추위에 얼어 죽거나 배고파 죽거나 일제의 총칼에 맞아죽거나 베어죽었다고 한다. 나는 그분들의 발자취를 더듬으면서 만일 내가 일제강점기에 태어났다면 과연 어땠을까 반성해 보았다.

왕산 허위 선생
 왕산 허위 선생
ⓒ 왕산기념관

관련사진보기

솔직히 고향산천을 떠나 먼 북국 이국땅에서 총칼을 들고 일제 관동군들과 맞서질 못했을 것 같다. 그래서 중국에서는 그들이 해방이 된 이후 이 분들을 가장 우러러 모시고 있다.

그래서 그들은 항일영웅의 이름을 따서 헤이룽장성에 조상지를 기리고자 '상지시(尙志市)'를 만들었고, 하얼빈시에 '이조린(李兆麟)공원'을 만들었다. 내가 헤이룽장성 경안현에 갔을 때 관계자들이 경북 구미 출신의 허형식 장군 호를 딴 '형식공원'을 만들었다고 자랑했다. 조상지와 허형식은 동격의 항일전사였다.

예산시는 매헌시로

몇 해 전 한 재미동포(심훈 3남 심재호씨)가 당신 처가 함경도 성진을 갔는데, 그곳 성진이 해방 후 김책시로 변했다는 글을 본 적이 있다. 그 김책이란 항일전사는 허형식과 봉천(심양)감옥에서 동지로 만난 사이로 두 사람의 동지애는 남달랐다.

인명을 지명으로 삼는 것은 동양뿐 아니라 서양에서도 흔히 찾아볼 수 있다. 포르투갈의 탐험가 아메리고 베스푸치를 기념하고자 아메리카 주 이름을 만들었는가 하면 이탈리아 탐험가 컬럼버스를 기념하는 컬럼비아라는 나라도 있다.

매천 황현 선생
 매천 황현 선생
ⓒ 매천기념관

관련사진보기

미국에는 초대대통령 조지 워싱턴을 기념하고자 워싱턴 주, 워싱턴 디시가 있다. 이밖에도 포르투갈 항해사 마젤란이 통과한 해협은 그의 이름이 붙었다.

최근 우리나라도 인명을 지명으로 한 곳이 차츰 늘어나고 있다. 춘천 근교 '김유정역'이 바로 그 예다. 서울 중구 명동에는 '우당로'가 생겨나고 내 고향 구미에는 13도창의대장 왕산 허위 선생을 기리고자 '왕산로'가 명명되었다.

나는 기왕이면 좀 더 화끈하게 충남 예산시는 윤봉길 의사의 호를 딴 '매헌시'로, 경북 구미시는 '왕산시'로 전남 광양시는 황현 선생의 호를 딴 '매천시'로 지명을 고친다면 그것이 민족정기를 바로 잡는 가장 좋은 방법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 보았다.

새삼 이 추운 날씨에도 조국의 광복을 위해 몸 바친 독립전사들의 영전에 깊이 고개 숙여 가신 분의 명복을 빌어마지 않는다.


태그:#구미시, #예산시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교사 은퇴 후 강원 산골에서 지내고 있다. 저서; 소설<허형식 장군><전쟁과 사랑> <용서>. 산문 <항일유적답사기><영웅 안중근>, <대한민국 대통령> 사진집<지울 수 없는 이미지><한국전쟁 Ⅱ><일제강점기><개화기와 대한제국><미군정3년사>, 어린이도서 <대한민국의 시작은 임시정부입니다><김구, 독립운동의 끝은 통일><청년 안중근> 등.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