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족발을 먹기 좋게 잘라 양념을 발랐다
▲ 족발 족발을 먹기 좋게 잘라 양념을 발랐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사람들은 돼지족발이라고 하면 먼저 '장충동 족발'을 떠올린다. 그러나 그런 일반적인 족발과는 전혀 다른 족발이 있다고 해서 화제다. 글쎄다, 순수한 맛을 좋아하는 사람들도 있고, 무엇인가 색다른 것을 좋아하는 사람들도 있다. 하지만 이 족발을 맛을 본 사람들은 딴 것에 눈을 돌리지 않을 듯하다. 물론 이 생각은 나 혼자만의 생각일 수도 있다.

하지만 맛을 본 사람들은 이구동성으로 모두 "짱이다", "대단하다" 혹은 "퓨전 같다"는 등의 이야기를 한다. 한 마디로 요약을 하자면 '맛이 기가 막히다'라는 표현으로 이 족발의 맛을 이야기할 수 있을 듯하다. 난 이 족발을 처음 대하는 순간 이런 생각을 했다.

"이거 정말 족발 맞아?"

행궁 길에서 엄마생각이라는 음식점을 운영하는 이정순씨. 소문이 나서 사람들이 많이 찾아오면 남을 돕는 일을 더 많이 하고 싶단다
▲ 이정순 행궁 길에서 엄마생각이라는 음식점을 운영하는 이정순씨. 소문이 나서 사람들이 많이 찾아오면 남을 돕는 일을 더 많이 하고 싶단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그냥 족발만 내 놓는 것이 아니라, 깔끔하게 장식까지
▲ 준비 그냥 족발만 내 놓는 것이 아니라, 깔끔하게 장식까지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일부러 맛을 보러 간 족발

음식을 준비하는 과정부터 하나하나 돌아보았다. 처음에는 정말로 족발인지 몰랐다. 접시에 담아 내 놓은 것을 보고 족발이라고 이야기를 하는 사람은 없다. 그저 주인이 족발이라고 하니까 '족발인가 보다'하고 먹었을 뿐이다. 맛도 족발의 일반적인 맛이 아니다, 한 마디로 족발이라고 생각하기에는 차원이 다르다.

이렇게 색다른 변신을 한 족발을 먹을 수 있는 곳이 있다. 글로 설명을 한다는 것 자체가 무리이기 때문이다. 난 음식전문가는 아니다. 또 글을 쓰기 위해 일부러 음식 맛을 보러 다니지도 않는 사람이다. 그저 답사를 하거나 취재를 하다가 우연히 만나게 되는 '맛이 있는 음식'을 보면, 아주 가끔 음식 소개를 하고는 한다. 그런데 이 족발은 일부러 소개를 하기 위해 다시 들렸다.

삶아 낸 족발을 양념을 묻혀 불에 다시 조리를 한다
▲ 양념 삶아 낸 족발을 양념을 묻혀 불에 다시 조리를 한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주변 사람들은 참 별일이라고 이야기를 한다. 그만큼 난 음식에 대해서 색다른 생각을 하게 만들었다. 나라는 인간이 원래 음식에 대해서는 무조건 잘 먹는 편이다. 답사를 다니다가 보면, 어떤 음식을 먹어도 다 꿀맛이기 때문이다. 그저 먹을 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무한 감사를 하는 나이기에.

족발의 무한변신은 무죄

우선은 그냥 접시에 담아 놓은 것을 보면, 족발이기보다는 양념치킨으로 착각을 할 만하다. 족발을 먹기 좋게 잘라 양념을 해서 내 놓기 때문이다. 이 기가 막힌 족발을 먹을 수 있는 곳은 수원시 팔달구 행궁 옆 골목 공방들이 늘어선 행궁 길 안에 자리하고 있다. 화성 행궁의 문인 신풍루를 바라보고 좌측에 주차장을 지난 골목길이 바로 새롭게 태어난 '아름다운 행궁 길'이다.

손으로 들고 먹기 좋을만큼 잘라냈다. 다정한 사람끼리 같이 찾아가면 딱 좋을 듯
▲ 족발 손으로 들고 먹기 좋을만큼 잘라냈다. 다정한 사람끼리 같이 찾아가면 딱 좋을 듯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행궁 길 공방 회원들의 뒷풀이 겸 만나는 자리에 같이 동석을 했다. 덤으로 머릿고기도 한 접시
▲ 머리고기 행궁 길 공방 회원들의 뒷풀이 겸 만나는 자리에 같이 동석을 했다. 덤으로 머릿고기도 한 접시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그곳에서 여기저기 기웃거리고 걷다가 보면 좌측에 '엄마생각'이라는 상호를 단 식당이 보인다. 우선은 이 상호부터가 마음에 든다. 엄마생각으로 음식을 차린다는데, 그것보다 더한 마음이 어디 있으랴. 지난 27일 저녁 찾아간 행궁 길. 안으로 들어가면 넓지 않은 식당 안에 4개 정도의 테이블이 놓여있다. 10여 명이 들어앉으면 꽉 찰 듯한 공간이다. 

엄마생각의 주인 이정순씨는 원래 커다란 식당을 운영했었다고 한다. 그러다가 이 행궁 길로 들어왔다. 엄마생각의 주 메뉴는 돈가스라고 한다. 하지만 행궁길의 공방 예술가들이 이 집을 안방처럼 드나들면서 저녁이면 술 한 잔씩을 나눌 수 있도록 족발을 마련했다고 한다. 족발은 3인 정도가 먹을 수 있을 정도의 양인 한 접시가 1만5000원이다.

주문을 할 때 매콤한 맛을 달라고 하면, 그저 딱 먹기 좋을 정도의 매운맛으로 해준다. 매운 것을 좋아하는 사람들은 땀이 날 정도의 맛을 즐길 수가 있다. 상호처럼 푸근한 곳에서 맛있는 음식까지 곁들일 수 있다면, 그보다 좋은 일이 또 있을까? 수원을 찾아 화성 행궁도 돌아보고, 엄마생각으로 찾아가 변신을 한 족발도 즐길 수 있다면 그야말로 일거양득이 아닐까?

"소문이 나서 사람들이 많이 찾아와 돈을 많이 벌면 남을 돕는 일을 더 많이 하고 싶어요."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수원인터넷뉴스와 다음 뷰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태그:#양념족발, #행궁 길, #수원, #무한변신, #엄마생각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