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보물 제1555호로 지정이 된 담양 용흥사 동종. 인조 22년인 1644년에 주조하였다
▲ 동종 보물 제1555호로 지정이 된 담양 용흥사 동종. 인조 22년인 1644년에 주조하였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전남 담양군 월산면 용흥리 574에 소재한 용흥사. 용구산에 자리한 용흥사는 서기 384년인 백제 침류왕 1년에 인도승 마라타 존자가 초암을 지어, 5차에 걸쳐 중창과 복원은 한 사찰이다. 용흥사는 임진왜란 때 전소가 된 것을, 일옥 진묵대사의 발원으로 응중, 쌍인, 혜증대사가 20여 년 간의 대 역사로 48동을 중창하였다.

용흥사는 영조의 생모인 최숙빈이 이곳에서 기도를 하여 영조가 탄생하였다고도 한다. 영조가 즉위를 한 후에는 일체의 세금을 감해주고, 원래의 이름인 '몽성사'를 임금과 나라를 위한다는 뜻인 '용흥사'로 사명을 바꾸었다고 한다.

용흥사 입구에 서 있는 느티나무
▲ 느티나무 용흥사 입구에 서 있는 느티나무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용흥사는 한일합방 직전 48동이 거의 전소되다시피 한 것을, 모정선사가 1930년부터 10여 년에 걸쳐 11동을 복원하였으나, 1950년 12월 29일 불행하게도 아군에 의해 완전히 전소가 되었다.

외로움을 느끼는 절 용흥사

6월 18일 순창, 담양군의 문화재 답사를 하던 날 용흥사에 들렸다. 주차장에 차를 세우고 보니 커다란 느티나무 한 그루가 외롭게 서 있다. 아마도 한때는 이 일대에도 많은 전각들이 서 있었을 것이다. 계단으로 오르니 전각들이 보인다. 대웅전을 향하다가 좌측을 보니 작은 전각 하나가 서 있다.

한 때는 48동의 전각이 있엇다고 전하는 용흥사. 한 평 남짓한 산신각이 외로워 보인다
▲ 신신각 한 때는 48동의 전각이 있엇다고 전하는 용흥사. 한 평 남짓한 산신각이 외로워 보인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팔작지붕으로 지어진 용흥사 대웅전
▲ 대웅전 팔작지붕으로 지어진 용흥사 대웅전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한 평 남짓하게 지어진 산신각이다. 옆에는 커다란 고목 한 그루가 산신각에 드는 햇볕을 가리고 있다. 저리도 혼자 서 있는 산신각을 동무하느라, 그렇게 비바람을 막아주고 있는가보다. 왜 이 절은 이렇게 외로움을 느끼게 만드는 것일까? 과거 그 화려했던 호남제일의 가람이었다는 곳이다. 그런데 몇 동 안 되는 전각들이 듬성듬성 자리했기 때문에, 외로움을 느끼게 하는 것인지.

용뉴에는 힘찬 네 마리의 용이 

대웅전 한편에 자리하고 있는 동종. 보물 제1555호로 지정이 된 이 종은, '순치원년명 동종'으로 불린다. 그것은 이 종을 만든 연대가 순치 원년인 1644년이기 때문이다. 높이가 102㎝인 이 종은 조선시대 주종장 김용암이 주가 되어, 인조 22년인 1644년에 주성한 종이라고 명문이 새겨져 있다.

종을 붙들고 있는 용뉴는 네 마리의 용이 조각되어 있다. 음관은 생략된 모습이다.
▲ 용뉴 종을 붙들고 있는 용뉴는 네 마리의 용이 조각되어 있다. 음관은 생략된 모습이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당초문과 범자가 새겨져 있다. 육자대명왕 진언이 보인다
▲ 상대 당초문과 범자가 새겨져 있다. 육자대명왕 진언이 보인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종은 규모도 비교적 클 뿐만 아니라, 비례감과 조형성이 뛰어나다. 종을 붙들고 있는 용뉴는 일반적인 범종들이 쌍룡으로 조형을 하는데 비해, 활력이 넘치는 네 마리의 용을 채용하였으며 음관을 생략한 특이함을 보이고 있다. 종신에 시문된 각종 문양의 표현도 범상치가 않다. 종신에는 인동당초문, 보살상 등이 새겨져 있다.

범종은 중앙 윗부분에 4개의 유곽이 있으며, 유곽 내에는 각각 9개의 유두를 표출하였다.
유곽사이로는 전후좌우로 두광을 선각한 보살상을 정교하게 새겼으며, 상대에는 두 줄의 가로줄에 범자를 양각하였다. 그 중에는 '육자대명왕진언(六字大明王眞言)'이라 명문 한 글씨가 보인다.

보살상은 두광을 선각으로 처리를 하였다
▲ 보살상 보살상은 두광을 선각으로 처리를 하였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전패에는 주상전하 수만세 등의 글이 적혀있다
▲ 전패 전패에는 주상전하 수만세 등의 글이 적혀있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하대에는 굵은 두 줄의 새기고 그 안에 힘찬 용틀임을 하는 용을 새겨 넣었다
▲ 용 하대에는 굵은 두 줄의 새기고 그 안에 힘찬 용틀임을 하는 용을 새겨 넣었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종의 밑면에는 굵은 두 줄의 가로줄을 두고, 그 안에 두 마리의 용을 양각하였다. 뛰어난 용의 모습은 3개의 발톱과 입에서 불을 내뿜는 불꽃무늬를 조성하였다. 몸체 중앙부에는 凹형의 4각 선곽을 조식하고 그 안에 '순치원년 사월일 창평현 용구산 용구사 신주종기(順治元年 四月日 昌平縣 龍龜山 龍龜寺 新鑄鐘記)……'라는 명문이 표기되어 있다.

하나의 종을 만들면서도 이렇게 정성을 다한 선인들. 그 마음을 읽어내지 못하고, 우리 것에 대해 지독히도 무관심한 사람들. 아마도 이곳 용흥사가 이렇게 외롭다는 느낌이 드는 것도, 그러한 선인들의 예술혼을 미처 깨닫지 못한 후손에 대한 서운함인가 보다. 뒤돌아 나오는 발길이 무거운 것도, 나 역시 그런 부류에 지나지 않는다는 죄스런 마음이 들어서이다.

덧붙이는 글 | 이기사는 티스토리 '바람이 머무는 곳'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태그:#용흥사 동종, #보물 제1555호, #담양, #순치 원년, #김용암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