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스트레스 없는 나라에서 살다가 한국에 오니 스트레스가 생긴다."

 

헉. 살면서 스트레스 없는 나라도 있을까. 대체 그런 나라는 어디란 말인가. 히식델게르씨와 바야르씨는 결혼이민자로 국내에 온 지 7년 된 몽골인이다. 그들에게 몽골의 사정에 대해 물었다.

 

"몽골은 인구의 80%가 가축과 같이 유목생활을 한다. 찬 우유를 데워 옆집과 나눠 먹으려고 해도 말 타고 수천 Km를 달려야 하니 옆집 가기가 쉽지 않다. 이렇게 자연 속에서 살고 스트레스가 있겠는가."

 

광활한 자연과 더불어 자유롭게 살다 한국에 왔으니 이해할 만했다. 역으로 생각하면 사람 만나기가 힘든 상황이 스트레스 아닐까? 참, 자연은 그런 스트레스마저 날리는 힘이 있지.

 

몽골인의 스트레스 원인은 '여유' 없음

 

그들은 왜 한국에서 스트레스를 받는 걸까?

 

스트레스 원인에 대해 히식델게르씨는 "한국은 복잡하며 시끄럽고 사람도 많다"면서 "그래서 한국은 여유가 없고 답답하다"고 풀어냈다.

 

바야르 씨는 "몽골은 돈이 있고 없고의 차이가 없는데, 한국은 차이가 많다"며 "사람들이 돈을 벌기 위해 기를 쓰니까 그게 바로 스트레스가 된다"고 평했다. 결국 마음의 여유를 느끼느냐 아니냐의 차이였다.

 

옆에 있던 로잘리(필리핀)씨는 "저들은 3~4년 전만 해도 표정이 밝았는데 지금은 많이 어두워졌다"며 "아무래도 문화 차이로 인해 아직도 한국에 적응하기가 힘든 것 같다"고 진단했다.

 

결혼이민자 스트레스 푸는 방법, 남편과 자연

 

이런 한국도 바야르씨와 히식델게르씨에게 좋은 점이 있었다.

 

"몽골은 바다가 없는데 한국은 오밀조밀한 바다가 있어서 좋다. 바다만 봐도 가슴이 뻥 뚫린다."

 

역시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는 건 자연이나 보다. 그럼, 이들은 어떻게 스트레스를 풀까?

 

바야르씨는 "나를 이해해주는 남편에게 풀 수밖에 없다"며 "남편과 이야기하며 말로 푼다"고 전했다. 이로 보면 남편을 얼마나 의지하고, 사랑스러운지 짐작된다. 자상한 남편인 게다.

 

히식델게르씨는 "한국에서 이해되지 않는 게 있다"면서 "남편을, 남자를 하늘처럼 떠 받드는 문화가 이해 안 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남편과 동등하게 살려고 노력하고, 숲이나 바다 등 자연을 찾아 스트레스를 풀고 있다"고 밝혔다.

 

이렇듯 문화 차이가 있었다. 다문화가족이 늘어가는 이때, 서로를 알기 위한 작은 노력들이 상호간 문화 차이를 줄이는 한 방법이 아닐까?

덧붙이는 글 | 다음과 SBS에도 송고합니다.


태그:#결혼이민자, #다문화가족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묻힐 수 있는 우리네 세상살이의 소소한 이야기와 목소리를 통해 삶의 향기와 방향을 찾았으면... 현재 소셜 디자이너 대표 및 프리랜서로 자유롭고 아름다운 '삶 여행' 중입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