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충남 예산군 신암면 용궁리 산73 - 28에 소재한 천연기념물 제106호 예산 용궁리 백송. 백송이라는 명칭은 소나무의 껍질이 넓은 조각으로 벗겨지는데, 그 벗겨진 껍질이 흰빛이 되므로 백송 또는 백골송(白骨松)이라고도 한다. 백송은 중국이 원산지로서 조선시대에 중국을 왕래하던 사신들이 가져와 심은 것이라고 전한다. 원래 백송은 중국이 원산지다.

천연기념물 제106호 예산 백송
▲ 백송 천연기념물 제106호 예산 백송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김정희가 중국에서 들여와 심은 것이라고 전한다.
▲ 길가에서 보이는 백송 김정희가 중국에서 들여와 심은 것이라고 전한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우리나라에 들어온 시기는 정확히 알 수 없다. 다만 서울시 종로구 재동에 있는 백송이 수령이 600여 년 정도인 것을 감안하면, 그 시기에 들어온 것으로 볼 수 있다. 백송은 잔뿌리가 적어 옮겨심기가 힘들다. 씨앗도 번식력이 약하고, 어린 나무는 잘 자라지 않아 그만큼 키우기가 힘든 희귀종이다.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예산의 백송은 수령이 약 200년 정도로 추정된다. 높이 14.5m, 가슴높이 둘레 4.77m이다. 줄기가 밑에서 세 갈래로 갈라져 있는데 그 중 두 가지는 죽어서 처리를 해놓았다. 현재는 한 가지만 남아 빈약한 모습으로 서 있지만 백송이 희귀종이라 천연기념물로 지정이 되었다.

원래는 세가지였으니 현재는 한 가지만 남아있다.
▲ 예산 백송의 밑동 원래는 세가지였으니 현재는 한 가지만 남아있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백송은 생육이 잘 되지 않아 희귀종이다.
▲ 백송 백송은 생육이 잘 되지 않아 희귀종이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예산 백송은 나무 껍질은 거칠고 흰색이 뚜렷하다. 이 나무는 추사 김정희 선생이 조선 순조 9년인 1809년 10월에 아버지 김노경을 따라서 중국 청나라 연경에 갔다가 돌아올 때 백송의 종자를 필통에 넣어가지고 와서 고조부 김흥경의 묘 옆에 심었던 것이라고 전해진다.

김정희 선생의 서울 본가에도 영조(1724∼1776)가 내려 주신 백송이 있다. 그래서 백송은 추사 김정희 일가의 상징처럼 여겨지기도 한다. 예산의 백송은 용궁리에 있는 추사고택과 거리가 멀지 않다. 길가에서 멀지 않은 곳에 서 있어, 지나는 길에 들려볼 만 하다. 백송을 찾아가니 생육이 그리 잘 된 것 같지는 않다. 곁에 서 있는 커다란 소나무들에 비해 빈약하다. 수술 흔적도 보는 이의 마음을 불편하게 한다.

껍질이 벗겨지면서 흰빛을 내 백송 또는 백골송이라고 부은다
▲ 백송 껍질이 벗겨지면서 흰빛을 내 백송 또는 백골송이라고 부은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예산 백송은 생육상태가 좋지 않아 보존에 많은 신경을 써야할 것 같다.
▲ 줄기 부분 예산 백송은 생육상태가 좋지 않아 보존에 많은 신경을 써야할 것 같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씨앗을 잘 퍼트리지 않아 종자를 퍼트리기도 힘들다
▲ 송방울 씨앗을 잘 퍼트리지 않아 종자를 퍼트리기도 힘들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역사 기념물로의 가치뿐만 아니라, 추사 선생이 필통에 씨를 넣어 갖다가 심었기에 더욱 소중하다는 예산 백송. 앞으로 보존이 잘 되어, 더 많은 씨를 퍼트렸으면 하는 바람이다. 


태그:#백송, #천연기념물, #예산, #추사 김정희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