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아직 우리나라가 혈액을 수입하는 근본적인 원인은 자발적인 헌혈문화가 자리를 잡지 못했고, 이를 위한 제도적인 뒷받침 또한 미비했기 때문이다."

 

서울시의회 강감창(송파4) 의원은 "서울은 전국에서 혈액소비량이 가장 많은 도시인 반면, 헌혈의 집 등 헌혈에 참여할 수 있는 공간이 설치되기는 어려운 도시였다"면서 제215회 시의회 임시회 본회의에서 통과된'서울특별시 헌혈 장려 및 지원에 관한 조례'를 대표 발의한 취지를 이 같이 설명했다.

 

강 의원에 따르면 매년 혈액 부족현상이 심화되고 있지만 2000년 전체 국민의 5.3%에 이르던 헌혈인구가 2005년에는 4.7%, 2007년에는 4.3%로 떨어지는 등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현실이다.

 

또 부족한 혈액의약품 제조혈액은 2008년 한 해에만 56만 리터, 필요량의 60% 이상을 수입해  연간 700여억 원의 외화가 지출되고 있는 실정이다.

 

실제 이번 조례 제정으로 서울시는 헌혈 장려를 위한 다양한 사업을 추진할 수 있어 안정적인 혈액수급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강 의원은 "비싼 임대료뿐만 아니라 주변상가에서 기피되는 시설로 인식돼 헌혈공간을 설치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시민들이 편리하게 헌혈에 참여할 수 있도록 주요 관공서 등에 헌혈의집 설치를 가능케 하고, 이를 위한 권장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협력을 유도할 수 있는 내용을 골자로 한 조례 제정의 필요성을 느꼈다"고 말했다.

 

헌혈 장려 조례는 건강한 시민을 상대로 헌혈을 적극 권장하고 안정적 혈액수급을 위해 서울시는 매년 헌혈 장려 및 지원 사업계획 수립은 물론 당해 연도의 헌혈 장려사업을 분석 평가하도록 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특히 적십자사 총재가 서울시를 비롯한 25개 자치구 보건소 및 도서관, 서울시 산하 사업소, 서울시 투자기관에서 관리 운영하는 장소, 지하철역 등에 헌혈의 집을 설치하고자 할 경우 재정적, 행정적인 지원이 가능하도록 한 부분이 눈에 띈다.

 

또 헌혈자(헌혈단체)에 대해 구체적인 지원방안으로 서울역사박물관, 세종문화회관 등 서울시가 운영하는 공공시설 이용료에 대한 할인혜택도 받을 수 있도록 했으며, 특정 달을 서울시민 헌혈의 달로 제정, 운영하도록 하고 있다.

 

강 의원은 "지금 이 순간에도 병원에서 수혈을 받고 있는 환자는 1분마다 3.4명, 1시간마다 203명, 하루 4881명"이라며 "부족한 혈액 때문에 누군가의 작은 도움을 간절하게 기다리고 있는 환자를 내 가족처럼 생각하는 마음으로 헌혈에 동참하는 시민들이 늘어나길 바란다."고 말했다.

덧붙이는 글 | 전국매일 송고


태그:#강감창, #서울시의회, #서정익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