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큐멘터리 <비건 식탁> 스틸컷
인디그라운드
* 주의! 이 기사에는 영화의 스포일러가 포함돼 있습니다.
01.
동일한 주제도 어떤 방식을 택하느냐에 따라 결과물은 달라질 수 있다. 여기에는 기술적인 방법도 영향을 크게 미치지만, 대상과 접근 방식 역시 중요한 요소가 된다. 문화나 역사, 사회와 환경 등의 거시적인 주제에 담론을 담아 보여주는 다큐멘터리의 반대편에 개인이나 조합, 지역과 같은 상대적으로 작은 미시적인 시선이 존재할 수 있는 이유다. 거대한 움직임은 작은 행동으로부터 시작되고, 개인과 작은 사회의 집합은 다시 큰 협의체가 된다.
영화 <비건 식탁>은 채식주의에 해당하는 비건 문화를 개인과 지역 사회의 움직임으로부터 발견하고자 하는 작품이다. 문화의 역사나 용어의 의미와 같은 어렵고 복잡한 설명 대신 실제로 그 삶을 따르고자 하는 이들의 모습을 통해 실재하는 문화의 한 모습을 들여다본다. 여기에는 이 삶을 선택한 개인의 이야기가 있고, 그 이야기를 공유하고자 하는 이들의 작은 사회가 있다. 비건의 삶이라는 것이 단순히 고기를 먹지 않는 일을 의미하는 것만이 아니라는 사실을 김문경, 허성 감독은 보여주고자 한다.
02.
"나 버터 너무 좋아하는데, 그러면 앞으로 계속 못 먹어?"
이 작품의 중심에는 제주 애월의 작은 비건버터 가게, '문사기름집'을 운영하고 있는 송현애씨가 있다. 그녀가 비건버터 생산이라는 다소 생소한 일을 시작하게 된 것은 지극히 개인적인 이유였다. 우리 사회가 어떤 대량 생산 시스템 속에서 살아가고 있는지 알고 있었기에 고기를 끊는 것은 어렵지 않았다. 버터가 문제였다. 매일 아침 무조건 빵과 버터를 먹는 습관이 있었던 현애씨는 버터만큼은 포기할 수 없어 어떻게든 방법을 찾고자 했다.
마침 제주에 내려와 살게 된 것도 영향을 줬다. 서울에서 살 때보다 시간이 많다 보니 자신이 진짜 집중할 수 있는 일을 찾을 수 있게 되었다. 그 시간을 오롯이 자신이 먹기 위한 비건버터를 만드는 일에 쏟았고, 이제는 다른 사람들에게도 판매할 수 있을 정도가 되었다. 오랫동안 가입되어 있던 한살림 생활협동조합의 직거래 마켓을 통해 선보였던 것이 또 하나의 계기가 되었다. 비건버터가 자신만이 아닌, 자신과 비슷한 흐름에 있는 사람들에게 필요했다는 사실을 피부로 느낀 순간이었다. 개인의 필요가 사회적 연대를 통해 하나의 흐름으로 나아가는 순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