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4회 전주국제영화제 전주컨퍼런스 패널로 참석한 애쉬 호일 선댄스영화제 프로그래머.
전주국제영화제 제공
독립영화계의 중심, 다시 말해 전 세계 독립영화인들의 꿈의 무대인 선댄스영화제의 현재와 미래는 어떨까.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지난 2년간 온라인 행사를 치른 선댄스영화제는 지난 1월 무사히 오프라인 행사를 진행했다. 대안 영화를 추구하며 다양한 예술영화를 품어온 선댄스영화제는 국내 여러 영화제들, 특히 독립예술영화 중심인 전주영화제와 그 결이 맞다고 할 수 있겠다.
영화제 기간 선댄스영화제의 애쉬 호일(Ash Hoyle) 프로그래머가 한국을 찾았고, 지난 1일 '엔데믹 시대 영화제의 역할'이라는 주제의 포럼 발제자로 나서기도 했다. 포럼 직전 <오마이뉴스>는 그를 만나 선댄스영화제의 정체성과 세계 영화 산업 전반 관련 이야기를 나눌 수 있었다.
배우 로버트 레드포드가 자신이 출연한 영화 속 배역을 따서 1985년 설립한 선댄스영화제는 약 40년 역사에서 늘 반짝였다. 북미 지역에서 전 세계 독립예술영화의 요람을 자처한 이곳은 팬데믹 기간 전임 집행위원장이 3년 임기를 채우지 못하고 퇴진하는 등 내홍이 있었지만, 그 명성은 여전하다.
한국영화 중에선 <지슬 – 끝나지 않은 세월2>가 2013년 심사위원 대상을 받은 바 있고, 재미 교포 어맨다 킴이 연출한 다큐멘터리 <백남준: 달은 가장 오래된 TV>가 올해 영화제 경쟁 부문에 진출하기도 했다. 그만큼 해당 영화제가 보폭이 미주나 유럽에 그치지 않고 국제적이라는 사실의 방증일 것이다.
"독립영화 지지 정체성 여전하다"
애쉬 호일은 "최근 몇 년 간 (코로나19 팬데믹 등으로) 문화적으로도 많은 변화들이 있었지만, 여전히 선댄스영화제의 정체성과 가치는 유지되고 있다"고 분명히 말했다.
"예술과 예술가들은 이 세계를 문화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해주는 존재라고 생각한다. 선댄스영화제를 살펴보면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지금 우리가 사는 세계를 고민하는 사람들이 여전히 있었고, 그 격변을 다양하게 이해하고 있다는 걸 보여주는 시간이었다. 특히 영화는 그런 창의성을 담아내는 매체기에 항상 변화해왔는데 선댄스가 처음 추구했던 가치, 즉 독립영화를 지지하고 창작자들을 한곳에 모아 흥미로운 작업을 이뤄내게 한다는 점에선 여전히 유지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아마 이 부분은 전주국제영화제도 마찬가지일 거라 생각한다. 매년 서로 다른 감독, 작가, 주제의 영화가 상영되기 때문이다."
미국에서도 지형과 날씨가 험한 유타주, 그곳에서 심지어 한겨울인 1월에 영화제가 열림에도 세계 영화인들이 환호하는 이유는 선댄스영화제 특유의 환대와 프로그램 덕일 것이다. 해마다 편차는 다소 있었지만 매년 110여 편의 장편영화와 70여 편의 단편영화가 소개되는데 영화제 마지막날엔 로버트 레드포드가 직접 파티를 주최해 영화인들을 맞이하는 전통이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애쉬 호일은 "무엇보다 선댄스는 예술가들과 관객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다"며 말을 이었다.
"예술가들 입장에서 관계자들과 관객들, 언론이 본인들 작품에 어떻게 반응하는지 볼 수 있고, 영화 마켓에서 어떻게 거래가 이뤄지고, 어떤 작품이 상을 받는지 보면서 본인의 현재를 가늠할 수 있다. 선댄스를 찾는 다수의 관객은 영화 자체를 경험하기 위해 오시는 것 같다. 왜 선댄스에 오는지 물어보면 어떤 분들은 우연을 찾아서 온다고도 한다. 그만큼 영화제 프로그래머들의 선택을 믿는다는 뜻일 것이다. 유명한 영화를 보지 못해도 우연히 어떤 영화를 보든 괜찮은 작품일 것이라는 믿음이 있는 것 같다. 물론 영화산업 관계자들을 연결시키는 것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다. 특히나 미국 외에서 온 감독들의 연결을 돕기 위해 많이 노력하고 있다."
사실 선댄스영화제는 일종의 쇼케이스 무대고, 본 사업은 선댄스재단(Sundance institute)을 중심으로 창작자 발굴과 지원 프로그램에 집중돼 있다. 복수의 언론 보도에 따르면 약 5천만 달러의 예산으로 운영되는데 180여 명의 상근 직원이 영화제 일과 랩(Lab) 관련 업무를 나눠서 맡고 있다. 애쉬 호일 프로그래머는 각 영역 별로 철저히 독립되어 운영되고 있음을 강조했다.
"창작자 인큐베이션 경우엔 마치 정교분리하듯 영화제 일과는 완전 별개로 진행된다. 선정 과정에서부터 말이다. 제가 알기론 랩 프로그램만 20여 가지가 있고, 각 프로그램마다 10명 이상의 예술가들을 지원한다. 이것 외에도 집중 발굴 프로그램도 있다. 따지면 대략 수 백 편의 작품이 개발되거나 지원받는다. 그래서 꽤 많은 예술가들이 선댄스와 관계를 맺고 있다고 할 수 있겠다.
로버트 레드포드가 재단을 처음 설립했을 때 핵심이 바로 창작자들이 머물며 작품을 개발할 수 있는 레지던스와 랩이었다. 주류 스튜디오에선 실현할 수 없는 어떤 비전을 만들어내고 지원하는 것에 초점을 맞췄다. 여기에 (유타주에서 열리던) US 영화제를 통합하면서 랩에서 개발한 영화를 보여주거나 미국 내 풍부한 독립영화를 보여주는 식으로 진행됐던 것이다. 일종의 '쇼케이스'적 요소를 가지고 있었다."
이 대목에서 애쉬 호일은 "전주국제영화제에 직접 방문해서 여러 프로그램을 보고, 어떻게 섹션을 나누고 있는지도 살피고 있다"며 "다국적 게스트들이 매우 다양하게 어우러져 영화제에 참여하고 있다는 게 인상적"이라 짚었다.
"최근엔 영화제를 통해 문화에 영향을 미치는 건 어려운 일이 됐다. 일상에서 쏟아져 나오는 콘텐츠가 매우 많아졌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럴수록 관객들에게는 영화제가 더 필요하다. 수많은 콘텐츠를 큐레이팅(Curating) 해 제대로 제시하는 일이 더 중요해졌다고 생각한다. 콘텐츠 접근성이 커질수록 관객들은 무엇을 선택할지, 어떤 것을 어떻게 이해해야 할지 더 어려워하게 됐다. 너무 많은 것들이 얇게 광범위하게 퍼져 있다. 이런 걸 정리해서 사람들에게 방향을 제시하고 대화를 이끌어 내는 영화제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질 것이다. 그런 면에서 전주영화제는 이미 어느 정도 그런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