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습 중에 얻은 용기"대본 외우는 작업이 너무 힘들었어요. 대본이 너무 많아서, 대본 외우느라 아무것도 못할 지경이었죠. 나중에 동선까지 같이 맞추는데, 너무 헷갈리고 '멍'해졌죠. 일주일 연습하면 수요일까지 잘하다가 목요일쯤 그게 꼭 오더라고요. 연습하면서 자괴감도 많이 들었는데 그때마다 박소영 연출이 좌절하지 않게끔 '잘 하고 있다'라고 용기를 줬어요. 좌절할 수 있는 요소가 너무 많은 작품이고, 연출도 이 작품 외적으로 힘든 게 많은 상황이었는데 오히려 제게 힘이 많이 됐어요."
곽우신
피츠윌리엄 다아시. 혈통으로는 백작 가문과 이어져 있고, 재력으로는 1년 수입이 4만 파운드나 되는 남자. 장미전쟁 이후 몇 남지 않은 '진짜' 귀족들을 제외하면, 19세기 영국의 상류 계급이었던 젠트리(Gentry) 내에서도 그는 비교 대상이 드문 존재였다. 그는 사실상 귀족이나 다름없는, 명백한 지배 계급의 일원이었다. 키도 크고 잘생기기까지 한 최고의 신랑감이었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엘리자베스(리지) 베넷이 별 볼 일 없는 여자라는 뜻은 아니다. 밝고, 활달하고, 똑똑한 리지는 미스터 베넷의 자랑이다. 하지만 당시의 결혼은 부와 지위, 명예를 위한 가문과 가문의 결합이었다. 그 사람 내면의 아름다움, 인격의 성숙함, 당사자들 간의 감정적 교류 등은 어디까지나 부차적인 문제였다.
그러니까 다아시가 지나치게 오만했던 걸, 온전히 그의 탓으로만 돌리기에는 어렵다는 이야기이다. 다아시는 활력이 넘치는 리지에게 반했고, 그에게 청혼할 때만 해도 설마 거절당하리라고는 상상하지 못했을 것이다. 베넷 역시 사교계에 적극적으로 나설 수 있는 젠트리 계급의 일원이었지만, 1년에 4천 파운드 정도의 수입을 얻는 찰스 빙리(물론 물려받은 10만 파운드의 유산이 있지만)와 장녀 제인의 결합도 환영하는 정도의 위치에 있는 가문이었다.
당시의 통념상, 다아시가 리지에게 청혼하는 건 그야말로 '호박이 넝쿨째 굴러들어오는' 격이었을 테다. 그러나 다아시는 자신의 청혼이 얼마나 무례한 언어로 점철되어 있는지는 둘째 치고서라도, 리지가 그런 사회적 '통념'에 따라 움직이는 이가 아님을 미처 알지 못했다. 리지는 자신의 감정에 솔직하고, 자기주장을 당당히 내보이는 장점을 가진 이였다. 동시에다아시의 오만한 태도 안에 숨어있는 진정성까지 파악하기에는, 편견이라는 베일도 쓰고 있는 상태였다.
다아시가 그냥 그렇고 그런 인간이었다면, 외적 조건만 충만하고 내적 함량이 미달인 사람이었다면 이야기는 여기서 끝났을 것이다. 하지만 다아시는 이 일을 계기로 자신을 되돌아보고, 자신의 오만을 떨쳐버리는 계단으로 삼는다. 그는 섬세하면서도 예의 바르게 리지에게 다가가고, 리지 역시 이전까지 자신이 미처 보지 못했던 다아시의 매력들을 알게 되며, 그에 대한 선입견을 벗게 된다. 제인 오스틴의 명저 중에서도 불후의 작품으로 불리는 <오만과 편견>이, 200년을 넘어 동명의 연극으로까지 올 수 있었던 이유 중 하나는, 우리가 서로를 통해 더 나은 존재가 될 수 있다는 믿음에서 비롯된 게 아닐까?
오만한 남자, 사랑에 빠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