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마이스타

'최순실과 아이들'로 얼룩지고 쪼개진 평창 올림픽

이권 다툼에 마스코트·기념주화까지 잡음... 올림픽 관심도 '싸늘'

16.11.21 15:46최종업데이트16.11.22 12:00
원고료로 응원
 평창 올림픽의 중심이 될 알펜시아 리조트의 2014년 모습.
평창 올림픽의 중심이 될 알펜시아 리조트의 2014년 모습. 박영진

삼수 끝에 어렵게 유치한 평창동계올림픽, 지난 2011년 7월 남아공 더반에서 울려진 환호는 대한민국 스포츠에 장밋빛 미래를 가져다 줄 것으로 기대를 모았다.

하지만 5년이 지나 올림픽을 불과 1년 3개월여 앞둔 지금, 평창에 남은 것은 상처와 냉담한 반응 뿐이다. 초유의 사태인 '박근혜-최순실 게이트'로 인해 모든 일이 뒤틀려 버렸기 때문이다.

'최순실 이권'으로 쪼개진 첫 동계올림픽

이번 게이트에서 드러난 스포츠 관련 소식은 충격적이다. 최순실과 그의 측근들은 K스포츠재단, 동계스포츠영재센터 등을 만든 후 정부의 예산을 받거나 자금을 횡령한 혐의를 받고 있다. 특히 이들은 평창 동계올림픽 이권에도 개입한 정황이 드러났다.

최순실이 설립한 더블루케이는 스포츠 경기장을 건립한 경험이 전혀 없는 회사였다. 그러나 평창올림픽 개·폐회식장을 건설사업 수주에 참여하는 것을 두고 평창동계올림픽 조직위원회(아래 평창 조직위)와 대립했다. 이들은 스위스 건설업체까지 참여시켜 자신들이 수주 이권을 챙기고자 했으며, 심지어 문화체육관광부(아래 문체부)마저 이들의 압박을 받았던 것으로 확인됐다.

박근혜 대통령도 평창동계올림픽에 이해할 수 없는 압박을 가했다. 박 대통령은 평창 올림픽 마스코트를 자신이 청와대에서 키우고 있는 진돗개로 바꾸도록 했다. 그러나 국제사회에서 한국의 개고기 문화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있어 국제올림픽위원회(IOC)는 이를 반대했다. 급기야 조양호 전 평창 조직위 위원장이 직접 IOC 본부가 있는 스위스까지 찾아가는 해프닝도 벌어졌다.

심지어 새로운 우수선수를 육성하기 위해 건립된 동계스포츠영재센터(아래 영재센터) 역시 최순실의 조카인 장시호의 손이 닿았다. 장시호는 영재센터를 건립할 목적으로 문체부로부터 6억7000여만원을 받았고 이를 횡령한 것으로 드러났다.

최씨 측근들이 올림픽 이후 강릉에 위치한 빙상경기장(강릉 스피드스케이팅 경기장, 강릉 아이스 아레나) 운영을 맡아 수익을 챙기려 했다는 정황도 있다. 

이권과 갈등에 휘둘린 올림픽

 평창 올림픽의 스키점프 경기장인 알펜시아 스키점프대 모습.
평창 올림픽의 스키점프 경기장인 알펜시아 스키점프대 모습.박영진

이번 게이트가 드러나기 이전에도 평창 동계올림픽은 정부 기관단체들로부터 이리저리 휘둘렸다. 특히 올림픽을 기념하고 추억하기 위해 만든 기념주화도 불명예를 안게 됐다. 지난달 이희범 조직위 사무총장과 '피겨여왕' 김연아 등이 참석해 발표한 기념주화 중에 피겨스케이팅 관련 주화는 없었다.

전통적으로 동계올림픽에서 가장 인기 있는 종목은 단연 피겨스케이팅과 아이스하키다. 특히 피겨스케이팅은 올림픽 주관방송사인 미국 NBC 방송사의 수익과도 직결돼 있으며 그동안 올림픽에서 항상 저녁 및 밤 시간대에 열렸다. 그러다보니 평창 올림픽에서도 피겨 경기는 미국과의 시차에 맞춰 오전에 열리게 됐다.

하지만 동계올림픽의 꽃이라 불리는 피겨스케이팅 관련 기념주화는 이날 볼 수 없었다. 한국의 효자종목으로 꼽히는 쇼트트랙과 최근 급성장한 스피드스케이팅을 비롯해, 새롭게 기대를 모으고 있는 봅슬레이와 설상 종목들만 포함됐다.

당시 발표를 보자마자 팬들은 의아함을 감추지 못했다.  최근엔 김연아가 늘품체조 시연회에 참석을 거절하면서 피겨스케이팅마저 낙인찍힌 것이 아니냐는 의문이 급속도로 퍼져나가고 있다. 올림픽을 즐기기 위해 만든 주화마저 최순실의 입김에서 자유롭지 못했다면 그야말로 아연실색할 일이 아닐 수 없다.

예산 문제에 사후 활용 방안까지 의문점 투성이

평창 올림픽을 유치하고 난 뒤 끊임없이 제기된 문제는 다름 아닌 예산이었다. 올림픽을 유치했을 당시인 2011년 이후에 올림픽에 소수 종목이 추가 됐고, 개폐막식 경기장이 기존의 사각형에서 오각형으로 변경된 것을 비롯해, 공사 설계가 변경되는 등 예산이 지속적으로 불어났다.

여기에 몇몇 경기장은 올림픽 이후 사후 활용 방안도 찾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이들 경기장이 나중에 골칫덩어리로 전락하는 것이 아닌지 우려도 갈수록 커져가고 있다. 

평창 올림픽은 한국이 개최하는 첫 동계올림픽이자 10년을 기다린 숙원사업이었다. 또한 1988년 서울 하계올림픽, 2002년 한일 월드컵, 그리고 2011년 대구 육상선수권 대회에 이어 마지막으로 남은 4대 메가스포츠 대회 중 하나다. 4개 대회를 모두 치르는 것은 한국이 여섯 번째다.

평창 올림픽을 유치하면서 스포츠계는 전 세계에 다시 한 번 한국이 스포츠 강국이라는 점을 내세우고 국민의 자긍심을 드높일 것이라고 확신했다. 하지만 박근혜-최순실 게이트로 현재 평창은 그야말로 아수라장이 돼가고 있다.

이권 다툼과 지자체의 갈등 속에 올림픽 준비는 표류하고 있고 올림픽의 붐을 일으킬 마스코트와 기념주화까지 문제를 일으키면서 잡음이 커지고 있다. 게다가 이달 말부터 열리는 테스트 이벤트의 입장권 시스템에서 조차 문제가 드러나 네티즌들에게 비난을 받고 있다. 지금 이대로라면 올림픽 이권을 둘러싼 이익집단들의 갈등 속에 올림픽의 열기를 기대하기도 힘들게 됐다. 과연 평창 올림픽은 대한민국에 자랑스러운 스포츠 행사로 남을 수 있을까.


☞ 관점이 있는 스포츠 뉴스, '오마이스포츠' 페이스북 바로가기
평창동계올림픽 최순실게이트 박근혜 장시호 마스코트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