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마이스타

불멸의 '루시', '택시'를 타고 '제5원소' 찾아라

[리뷰] 뇌 활용률 100%에 달한 루시 통해 불멸에의 욕망을 관객에게 묻는 영화

14.09.11 08:16최종업데이트14.09.11 08:16
원고료로 응원

루시 ⓒ 네이버영화


<루시>는 뤽 베송 감독이 오래간만에 메가폰을 잡은 영화이다. 그간 뤽 베송의 작품 활동은 주로 제작, 각본 등에 국한되어 왔다. 거장의 컴백을 기다려왔던 팬들에게는 더할나위 없이 반가운 영화였다.

영화에는 뤽 베송의 전작에도 녹아있던 문제의식을 발견할 수 있다. 루시는 미스터 장(최민식 분)의 조직에 포획되어 마약 운반책이 된다. 영화는 루시가 마약 조직에 붙잡히는 장면 중간중간에 치타한테 잡아먹히는 톰슨가젤의 모습을 오버랩시킨다. 동물세계와 인간세계를 동일하게 관통하는 사도-마조히즘적인 약육강식의 원리를 노골적으로 표현한다. 할리우드의 일반적인 연출법과는 뚜렷이 구별되는 사뭇 신선한 장면들이다.

뤽 베송은 동물세계와 인간세계의 동질성을 전제로 깐 뒤, 우주 전체를 하나로 묶어 이해한다. 그리고 우주의 통일성을 상징하고 구체적으로 실현해내는 주체로 루시를 내세운다. 루시는 CPH4라는 약물에 노출된 후 뇌 활용률을 극적으로 늘려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재밌는 것은 뇌 활용률을 늘리게 됨에 따라 루시는 점차 물질세계의 근원에 다다르게 된다는 점이다. 처음에는 자기 몸을 자유자재로 콘트롤 하게되고, 후에는 타인을 조종하고, 나중에는 전자적 신호를 매개로 만물을 조종할 수 있게 된다.

뇌용량 활용률이 100%에 달하면 세포핵을 열어 세포의 근원에 도달하고, 이로써 모든 물질의 근원과 조우한다. 인간의 생물학적 물질(세포)뿐 아니라 인간 바깥의 우주만물을 구성하는 물질도 근원적인 메커니즘과 구성요소는 동일하다는 전제라서 가능한 이야기다.

<제5원소>가 우주를 구성하는 근원적 요소들을 찾아 우주 구원의 실마리를 찾는 이야기였듯이, <루시>도 우주의 근원을 찾아들어가는 이야기이다. 다만 <제5원소>가 우주 구성의 원소 중 하나를 '사랑'으로 규정하여 정신적 요소를 내세운 반면, <루시>는 철저하게 물질적 요소로 환원되는 우주를 말한다.

생의 의지와 강한 자가 약한자를 지배하는 권력 의지만이 팽배한 <루시>의 우주는 이기적 유전자들의 각축장일 뿐이다. 유전자들은 스스로 개체적 영생을 누리지 못할 바에는 자신이 습득한 지식, 정보를 후세에 전달함으로써 번안된 형태의 종적 영생을 이어간다. 유전자는 DNA 정보를 전달하고 개인과 사회는 역사를 전달한다.

루시는 뇌용량 활용률이 높아질수록 결국 죽음에 이를 것이라고 생각한다. 스스로 개체적 영생을 누리지 못할 것이라는 판단이 서자 자신의 지식을 전달하기로 마음먹는다. 그래서 루시는 자기가 알 수 있는 극대치의 지식을 얻기 위해 CPH4를 추가로 주입하고는 뇌용량 활용률을 100%까지 가동시킨다. 인류에게 우주의 모든 지식을 전수하려는 목적이었다. 이러한 노력덕에  루시는 시간, 공간, 물질을 자유자재로 콘트롤 할 수 있는 경지에 이른다.

그런데 놀라운 일이 벌어진다. 죽은 줄 알았던 루시가 모든 공간에 편재하고 있음이 드러난다. 그녀의 동료였던 프랑스 형사에게 "나는 어디에든 있다"라는 메시지를 휴대폰으로 전송하는 것을 보면, 루시는 단순히 물질 원소로 환원된 것이 아니다. 자신의 지성 즉 인격체를 보존한 상태에서 우주 공간에 녹아든 것이다. 그리고 시공간과 물질을 자유자재로 콘트롤 할 수 있기 때문에, 루시는 원하면 언제든지 본래 인간의 형체로 현현할 수도 잇다. 물질세계를 관장하는 조물주의 위치에 올라선 것이다.

루시가 시간여행 중 최초의 인류로 추정되는 유인원과 조우하는 장면은 이러한 추론을 뒷받침한다. 루시는 유인원과 손가락  끝을 마주치는 장면을 연출하는데, 이는 신과 아담의 손가락 접촉을 그리고 있는 미켈란젤로의 '천지창조'에 대한 패러디이다. 루시는 신, 유인원은 아담에 각각 대응된다.

죽음을 조우할 각오로 근원에 다다르려 결사적 노력을 기울였던 루시는 죽음의 끝에서 존재론적 상승을 경험하며 새 삶을 얻었다. 뤽 베송은 무엇을 말하고 싶었던 걸까? 미스터 장 무리들과의 자동차 추격신은 <택시>를 연상케 할 만큼 박진감 넘쳤지만, <루시>의 전체적인 액션 농도는 타 할리우드 영화에 비해 진하지는 않다. 영화의 방점이 액션에 찍혀있지 않음은 분명하다.

<루시>는 인간의 존재론적 한계를 돌파하는 와중에 빚어지는 고통과 위험, 그리고 그것을 끝내 넘어서게 만드는 불멸에의 욕망을 관객들에게 진지하게 던지고 싶었던 것은 아닐까?  

덧붙이는 글 이 기사는 기자의 개인 블로그에도 실렸습니다
루시 최민식 뤽베송 스칼렛 요한슨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