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관
정누리
우리는 몇 년 전만 해도 영화관 스케줄에 맞춰 몸을 움직이곤 했다. 영화가 시작하기 전에 서둘러 밥을 먹고, 미리 화장실을 다녀오고, 팸플릿 속 줄거리도 꼼꼼히 읽는다.
현재에 와서는 영화관이 우리에게 맞추기 시작한다. 가격을 낮추고, 상영시간을 줄이고, 전개속도를 높인다. 도매업이 소매업으로, 이후 1인가구를 겨냥한 시장이 생겨났 듯, 영화관도 쇼트폼 콘텐츠에 익숙한 MZ세대에 맞춰 획기적으로 짧은 작품을 내놓기 시작했다. 이것은 바로 '쇼트폼 영화' 얘기다.
지난 1일, 4분 44초짜리 8개 단편을 모은 옴니버스 공포영화 < 4분 44초 >가 개봉했다. 요새 통 영화관을 들르지 않은 나지만, 부담 없는 러닝타임에 끌려 밤늦게 예매해봤다. 나와 같은 MZ세대를 겨냥했다는 점도 흥미로웠다. 언론 보도에 따르면 이 영화는 기획 단계부터 MZ세대를 겨냥해 만들었으며, 실제로 전체 관객의 60% 이상이 10~20대라고 한다.
시간이 늦은 탓일까. 이날은 300석 가까운 상영관에 앉은 사람이 친구와 나 둘뿐이다. 덕분에 영화가 시작하기도 전에 으스스한 공포 분위기는 충분히 조성됐다. 이 틈을 타 말하자면 난 원래 공포영화를 좋아하지 않았다. 특유의 질질 끄는 플롯을 싫어했다. 2시간 넘게 감독의 밀고 당기기에 놀아나면 기가 쭉 빠지곤 했다. 그나마 40분 정도는 견딜 수 있으리라는 생각에 이 영화는 한번 보기로 마음먹었다.
이윽고 상영기가 돌아간다. 8개의 작품 중 'ASMR'이라는 이름의 1번째 단편집이 시작됐다. 주인공이 가위에 눌려 괴로워하는 모습을 보면서도, '저러다 말겠지'라는 삐딱한 생각으로 관람을 시작했다.
영화는 완벽히 내 예상을 빗나갔다. 주인공은 설명도 없이 사고를 당하고 만다. 목숨이라는 것은 전후 예고 없이 사라진다. 재앙은 자연재해처럼 서사도 없이 찾아온다. 온몸이 오소소 떨렸다. 우연인지 의도인지 모르겠으나, 내가 가장 좋아하는 스릴러 영화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를 봤을 때의 무자비함을 동일하게 느꼈다.
결말은 너무나 아쉬웠다. 1편부터 7편까지는 연결성이 좋았다. 쇼트폼 영화라 해서 단발성 에피소드일 줄 알았는데, 모든 이야기들이 북촌아파트라는 공통된 배경 속에서 이루어졌다. 덕분에 4분이 짧게 느껴지지 않았다. 덕분에 갈수록 기대감이 높아졌다. 하지만 층층이 쌓이던 서사가 마무리에서 뚝 끊겨버렸다. 열리지도 닫히지도 않은 결말에 '이게 뭐지?'라는 생각이 들었다.
시간이 짧다는 말이 작품성에서 타협을 봐도 된다는 말은 아니다. 차라리 단편 개수를 늘리더라도 마무리를 제대로 지어줬으면 하는 마음이 들었다. 쇼트폼 영화라 해도 풍성한 이야기를 담아낼 수 있는 가능성을 봤다는 정도로 이번 작품은 평가를 마쳐야 할 듯하다.
스마트폰이 줄 수 없는 매력, 보편적으로 자리 잡으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