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같은 속옷을 입는 두 여자>를 연출한 김세인 감독.
KAFA
영화를 끝까지 보고 있자면, 둘 중 누군가를 편들기 어렵다. 홀로 자식을 키워냈다는 이유로 딸에게 온갖 정서적, 물리적 학대를 가하는 수경(양말복)도, 그에 맞서지만 단순 방어를 넘어 법정에 가서까지 엄마를 몰아세우는 이정(임지호)도 모두 폭력적이다. 모녀 관계로 엮인 두 여성의 정서적 흐름을 이 감독이 파헤쳤다. 4일 오후 온라인으로 만난 영화 <같은 속옷을 입는 두 여자>의 김세인 감독은 이 이야기를 2016년 무렵 떠올렸고, 거기엔 본인이 체감한 엄마와의 어떤 정서적 경험이 은근하게 묻어 있었다.
지난해 부산국제영화제에 공개되며 올해의 배우상, 관객상 등 5개 부문을 석권한 이 작품을 두고 관객들은 여러 반응을 보였다. 인자한 엄마, 모든 걸 희생하는 엄마나 순종하는 딸의 모습이 아닌 너무도 서로를 몰아붙이는 묘사에 불편함을 토로하기도 했고 묘한 정서적 공감대를 사기도 했다. 그간 단편 <햄스터>나 <불놀이> 등에서 소년기 외로움을 화두로 삼았던 감독은 "그 외로움의 끝에 엄마가 있었다"고 고백했다.
모성에 더 기대하는 사회
"다른 화두를 다룰 수 있기 위해서라도 그 정서에 직면해야겠다고 생각했다. 제가 겪었거나 들은 실제 사건에서 출발한 건 아니고, 모녀 관계에서 오는 어떤 정서들이 제 삶과 닿아 있는 지점이 있었다. 2016년 당시 엄마와 살고 있었던 때였는데 전 영화 일을 계속 하고 싶어했고, 엄마는 반대했었다. 내 삶에서 뭘 선택하는 게 엄마에겐 일종의 배신이 되는 상황이었다. 그 직후 독립하게 되면서 이 글을 쓰게 됐다."
감독이 말한 영화의 시작점처럼 영화 속 인물은 서로 같은 속옷을 공유하면서도 모질게 군다. 그 강도가 셀수록 그만큼 서로에게 기대하는 바가 크다는 방증일 것이다. 엄마는 왜 자신의 힘든 삶을 이해하지 못하는지 딸을 나무라고, 딸은 자신을 학대하는 엄마에게 제대로 된 사과를 요구한다. 영화에선 이런 감정적 대립이 자동차 급발진으로 격화된다. 수경이 탄 차가 이정을 칠 뻔하면서 부상을 입힌다. 한쪽은 급발진을, 다른 한쪽은 고의성을 주장하고 결국 이정은 엄마 편이 아닌 자동차 제조사 편에 서며 법정까지 가게 되는 게 영화 속 주요 사건 중 하나다.
"시나리오를 쓰기 직전 급발진 사고 기사를 읽었다. 여러 다큐멘터리를 찾아봤는데 급발진 사고에서 피해자가 승소한 사례가 거의 없더라. 한국에선 특히 대기업에 대한 믿음이 견고해서 개인이 사고를 증명하기 어렵다고들 한다. 모성 또한 거기에 맞닿아 있다고 생각했다. 사람의 감정을 하나로 규정할 수 없듯 모성도 사람마다 다를 텐데 마치 강한 모성애가 없으면 엄마 자격 박탈이라는 식의 생각이 우리 안에 있는 것 같았다."
영화엔 수경과 이정 관계 못지않게 수경의 내연남인 종열(양흥주)과 딸 소라(이유경)의 관계도 얼핏 다룬다. 파탄으로 치닫는 수경-이정이 마치 폭주하는 기관차 같다면, 종열과 소라의 부녀 관계는 알게 모르게 파열해가는 낡은 파이프 같다. 아내 없이 마찬가지로 홀로 딸을 돌봐온 종열은 이상적인 가족 관계 틀을 수경과 딸에게 요구한다. 김세인 감독은 "고정된 시각, 편견 안에서 사고하는 사람이라는 점에서 수경과 종열 네 가족 모두 공통점이 있다"고 덧붙였다.
"제 생각엔 우리 사회에선 부성보다 모성에 기대하는 게 더 많은 것 같았다. (같은 한부모 가정이라도) 정서적인 나눔을 아버지에게 바라기보단 엄마에게 더 바라는 것 같더라. 이건 자본과도 연관된다고 생각한다. 예를 들면 아동 관련 제품 광고만 보더라도 모성을 자극하거나, 모성에 죄책감을 심어주는 마케팅이 많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