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그것이 알고 싶다>에 출연한 김규리.
SBS
"김민선 배우는 한창 자신을 키워갈 20대 후반~30대 초반에 집중적으로 배제 불이익을 받았다. 이미 세월은 흘러갔고 회복할 수 없는 치명적 피해를 받았다. 어제 통화해보니 피해 상황에 대해 증언하는 것조차 두려워한다. 국정원 공격조가 그를 공격했던 논리가 일반 누리꾼에게 아직 남아서 여전히 공격받고 있다. 그러니까 두렵고 힘들어서 나올 생각을 못한다. 그동안 오래 활동을 못했는데 앞으로는 연기할 수 있는 기회를 많이 얻길 바란다. 피해여성에게 따뜻한 격려를 해주시길 바란다. 악성 댓글은 폭력이다. 멈춰주시길 부탁드린다."이게 '핵심'이고, '현실'이다. 지난 18일 'MB 블랙리스트' 피해자 조사차 검찰에 출석했던 배우 문성근. 그는 '최대 피해자'로 배우 김규리(김민선)를 언급하며, "피해여성에 대한 격려"와 함께 "악성 댓글은 폭력"이라는 점을 분명히 했다. 김규리는 지난 23일 방송된 SBS <그것이 알고 싶다>에 출연해 오열하며 그간의 고통을 호소하기도 했다.
그간 국정원과 군은 '좌파척결'이란 MB정부의 기조 아래 '밥줄'을 끊는 방식도 모자라 여성으로서의 이미지를 실추시킬 수 있는 공작들에 심혈을 기울였다. "국정원이 일베"라는 한탄어린 비판이 창궐하는 이유다.
이들은 합성사진을 포함, 여성 피해자들에게 가장 세고 거친 표현으로 선제 타격을 가했고, 이를 대형 커뮤니티 등에 퍼날랐다. 심지어 댓글조차 그들이 직접 '생산'했다. 문성근의 말마따나, 이후 '일반 누리꾼'들에게 이러한 공격 논리가 깊게 각인될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불행하게도, 이러한 공격과 공격의 논리는 여전히 잔존한다.
이러한 흐름으로 볼 때, 박근혜 정권에서 폭발적으로 터져 나온 '여성 혐오' 반대의 목소리는 이러한 'MB 블랙리스트'와 '댓글 부대'를 비롯해 이명박 정부이후 벌어진 '국가 폭력'이 일조했다고 할 수 있다.
국정원과 군 심리전단 등의 '공작' 자체가 이러한 '여성 혐오'란 약자를 향한 공격과 폭력을 기반으로 하고 있지 않은가. 이들 정권 하에서 '일간베스트' 등 소수자와 약자를 향한 공격과 '여성 혐오'를 확대재생산한 사이트들이 창궐했고, 이들 정권의 묵인 하에 그 '혐오'와 '차별'의 스피커를 키워갔다. 정권 자체가 '일베'와 '악성 댓글'을 키우고 장려했다고밖에 볼 수 없지 않겠는가.
김규리를 향한 여전한 댓글 폭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