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47 보스톤> 포스터
<1947 보스톤> 포스터롯데엔터테인먼트
 
 
강제규는 한국영화계의 전성기를 연 감독이다. 데뷔작 <은행나무 침대>를 성공시키며 장르적인 저변을 확장시켰고, <쉬리>는 2000년대 한국영화 르네상스의 발판을 마련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여기에 <태극기 휘날리며>로 천만 관객을 돌파하며 충무로 대표 감독으로 자리매김 했다. 그러나 한국영화계의 거목과도 같았던 그는 2011년 <마이웨이>의 흥행실패로 관객들 기억 속에서 잊혀지는 듯 했다.  
 
그런 가운데 강제규 감독의 신작 < 1947 보스톤 >이 올 추석영화 BIG4 대열에 합류하며 그의 부활을 기대하게 한다. 영화는 1947년 보스톤 마라톤 대회에 참가한 한국 선수단의 실화를 담았다. 

신파는 없다
 
 <1947 보스톤> 스틸컷
<1947 보스톤> 스틸컷롯데엔터테인먼트
 
 
1936년 베를린 올림픽 금메달리스트 손기정은 한국인 운동선수 최초 올림픽을 제패한 역사적인 인물이다. 하지만 그는 태극기가 아닌 일장기를 달고 뛰어야 했기에 아픈 기록이라고 할 수 있다. 단상에 오른 그는 묘목으로 일장기를 가린 일로 인해 다시는 마라톤 선수로 활동하지 않겠다는 각서를 쓰게 된다. 운동선수로서는 사형선고나 마찬가지였던 셈이다. 당시 한이 남았던 그는 광복 후 런던올림픽에 지도자로 참여하고자 한다. 
 
이 과정에서 손기정과 얽히는 인물이 육상 꿈나무 서윤복이다. 독립을 했지만 미군정 하에서 한국은 난민국가로 분류돼 있었다. 국민 대다수가 가난에 시달렸고 서윤복도 예외는 아니었다. 먹고 사는 문제 때문에 꿈-국가보다 돈이 우선이었던 그는 기정과 갈등을 겪는다. 두 사람의 갈등이 흥미로운 점은 민족의 문제와 개인의 문제를 절묘하게 엮어놨다는 점이다. 미시사와 거시사의 시점으로 동시에 역사를 바라본다.
 
태극기를 달고 뛰지 못한 기정의 한은 독립을 열망했던 민족의 한과 연결된다. 태극기를 달고 뛰는 윤복은 민족의 정체성 회복과 동시에 마라토너로서 개인의 정체성을 찾아간다. 영화의 클라이맥스인 보스톤 마라톤 대회의 하트브레이커 언덕과 윤복이 어린 시절 잿밥을 훔쳐 먹기 위해 달렸던 무악재 고개가 자연스럽게 연결된다. 가장 개인적인 경험을 민족의 역사로 끌어올리는 연출적인 확장을 통해 신파를 최소화한 게 눈에 띈다. 

군더더기 없는 구성
 
 <1947 보스톤> 스틸컷
<1947 보스톤> 스틸컷롯데엔터테인먼트
 
 
민족, 얼, 스포츠를 다루는 영화에서 어쩔 수 없이 신파가 수반되곤 한다. 그런데 강제규 감독은 소위 '국뽕'에 취할 수 있는 요소를 최소화했다. 
 
여기에 깔끔한 기승전결을 이루며 몰입을 주는 스토리는 상업영화의 이점이다. 기정과 윤복이 충돌을 겪는 기-이들이 마라톤 대회에 참가하기 위해 노력하는 과정을 다룬 승-보스톤에서 대회 출전까지 힘겨운 역경을 담은 전-마라톤 대회의 클라이맥스가 돋보이는 결까지 탄탄하면서도 군더더기 없는 구성이 돋보인다. 
 
1947년 보스톤 마라톤 대회는 우리나라가 광복 후 태극기를 달고 우승한 첫 국제 스포츠 대회다. 이 가슴 뛰는 역사를 상업영화에 담으면서 깔끔함에 집중한 면은 인상적이다. 하지만 신파요소와 함께 감동의 깊이도 감소시킨 점은 아쉽다. 42.195km를 달리는 마라톤의 진득한 여운보다는 단거리 달리기의 인상이 더 강한 작품이라 할 수 있다.
덧붙이는 글 이 기사는 키노라이츠 매거진과 김준모 기자의 브런치에도 게재됩니다.
1947 보스톤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