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S 다큐프라임 - 초저출생 4부 <조용한 혁명: 일, 가정, 시간>
EBS
프랑스, 독일, 스웨덴 이들 국가들의 공통점이 뭘까? 20세기 중반까지 이들 나라는 출산율 하락으로 소문난 국가들이었다. 프랑스 사람들이 애를 안 낳는데 라는 말은 미디어를 통해 한 번쯤은 들어보지 않았을까? 그랬는데 프랑스 1.8명(2022년), 독일 1.58명(2021년), 스웨덴 1.52명(2022년)으로 출산율이 상승세를 타고 있다. 그동안 '둘만 낳아 잘 기르자'며 인구 억제 정책을 하던 우리나라는 0.78명(2022년)이라는 저출생도 아닌 초저출생의 시대를 맞고 있다. 이들 나라와 우리나라의 '갭'은 어디에서 설명될 수 있을까?
10부작 초저출생 시리즈 중 4부 <조용한 혁명: 일, 가정, 시간>(6월 22일 방송)은 우리 사회 초저출생 문제를 접근함에 있어 그간 여성의 경력 단절이라는 문제에 집중했던 패러다임에 문제를 제기한다. 말 그대로 우리 사회에 '혁명적 변화'가 필요하다고 다큐는 주장한다.
아이를 키우는 누구도 행복하지 않은 사회
아이를 키우고 있는 부모들이 모였다. 그들의 삶이 어떻게 배분되고 있는지 빨간색의 일과 노란색의 육아 돌봄으로 구성해보기로 했다. 세 아이를 키우는 영식씨, 자영업자인 영식씨는 하루 15시간을 일한다. 거의 빨간색이다. 그 빨간색에 점처럼 붙여진 노란색 스티커, 세 아이 육아를 전담하는 아내가 피치못해 도움을 청하면 달려간다는 영식씨, 하지만 그마저도 손님이 오시면 불가능한 게 현실이다.
10개월 딸을 키우는 워킹맘 송이씨는 어떨까? 오후 6시가 되면 아이는 연장 보육반으로 옮긴다는 송이씨, 그녀는 직장에 있어도 늘 마음이 편치 않다고 한다. 전혀 행복하지 않다는 그녀, 지금 자신의 삶이 자신은 물론, 아이한테도, 심지어 회사한테도 좋은 건 아니라고 자조적으로 말한다. 대부분을 차지하는 부모들의 일, 거기에 점점이 박힌 노란 스티커, 그건 우리 사회 부모들 가슴에 뚫린 구멍과도 같다고 다큐는 말한다.
2019년 조사에 따르면 우리 사회 남편들 일과 중 집안 일이나 자녀 돌봄의 비중이 0.8%로 나타난다. 반면, 아내들은 39%에 달한다. 아이가 아플 때 눈치보지 않고 달려나갈 수 없는 사회, 임신, 출산, 육아로 일을 그만두려고 고민하게 되는 사회, 이런 사회에서 어떻게 아이를 낳을 수 있을까.
연구에 따르면, 출산율과 성평등은 U자형 계곡 형태 곡선의 관계를 보인다고 한다. '이행의 계곡 이론(The valley of transition)', 이전과는 다른 상태로 나아가는 과정 중 과도기의 제도적 불균형으로 인해 빚어지는 고통의 바닥이 바로 우리 사회 초저출생으로 나타나고 있다는 것이다. 출산율 상승세를 타고 있는 유럽의 국가 프랑스, 독일, 스웨덴에서 그 원인을 찾아보니 여성의 취업률 상승과 함께, 남성의 육아 참여도가 늘어났다는 것이다. 즉 남성은 일, 여성은 돌봄이라는 전통적인 패러다임이 바뀌어야, 성역할의 분담이 변화되어야, 그래서 남성과 여성이 일하고 아이를 돌보는 데 있어 경계가 없어야 출산율이 변화된다.
아이를 같이 키울 수 있는 사회돼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