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와 농촌의 비만율 차이는 여성만 따로 떼어 놓고 보면, 2008년 0.1% 차이였던 도농간 여성 비만율 격차가 해마다 벌어져 2012년 10.7% 포인트까지 커졌다. (중략) 도시보다는 농촌에 상대적으로 소득이 적고 연령대가 높은 여성이 많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비만율은 소득이 적을수록, 나이가 많을수록 높은 게 일반적이다.'8월 19일자 <한겨레>의 기사다. 이를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단지 표면적으로 드러나는 비만율의 차이만이 아니라, 그렇게 지역이나 나이에 따라 비만율의 차이가 드러날 정도로 우리 사회에서 여성의 몸에 대한 이데올로기가 내재화되고 있음을 수치상으로 드러내고 있다는 것이다.
기사 중 '농촌에 사는 여성은 도시 여성보다 상대적으로 경쟁에 따른 스트레스가 자유로워 자기 관리 욕구가 줄어드는 경향이 있다'는 표현이 있다. 즉, 우리 사회 여성의 날씬한 몸은 경쟁 사회에서 생존의 지표가 되었고, 그런 스트레스로 인해 여성들은 끊임없이 자기 몸을 '날씬하게 만들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다는 것을 기사는 통계를 통해 역설적으로 증명해 낸다.
이를 보고, 그런 날씬한 몸이 우리 사회의 경쟁 사회에서 성공의 지표가 되는 듯이, 그 반대로 날씬하지 않은 몸을 가지고 도시에서 살아간다는 것은 이미 경쟁 사회의 표준화에서 벗어난 패배주의적 현현이요, 따라서 지탄받아도 변명할 가치가 없는 대상으로 전락한다고 해석한다면 과언일까.
그리고 여성의 몸이 경쟁력이 된 이데올로기가 내재화된 현상은 TV 속에서 자주 조우할 수 있다. 화면에서 가장 빈번하게 만날 수 있는 상대적으로 '뚱뚱한' 몸을 가진 여성들은 개그우먼들인 경우가 많다. 그렇다면 그 여성들은 TV 속에서 어떻게 다루어질까?
이국주에 호응하는 사람들, 하지만 이국주가 되라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