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현대사의 한 토막이 기록영상과 자료로 소환된다. 역사적 상황에 관한 해설이 이어진다. 그렇게 묵직한 시대 배경을 풀어내던 화면이 바뀌면 초로의 여성이 과거 경험담을 회고하기 시작한다. 그의 간단한 회상이 이어지다가 점점 화면의 윤곽이 흐릿해진다. 이윽고 온통 흰 꽃으로 가득해진다. 어디론가 현재와 다른 시공간으로 빨려 들어가는 느낌이 감돈다. 마치 도연명의 '무릉도원'을 연상케 하는 순간이다. 그렇게 이야기는 반세기 전으로 시간여행을 출발한다.
관객이 도착한 곳은 1980년대 인천의 원도심 일대다. 그중에도 한국전쟁 이후 무수한 실향민이 자리를 잡고, 산업화와 함께 '이촌향도' 현상으로 발생한 도시 빈민들이 모여들어 '달동네'를 형성했던 만석동과 십정동 지역이 조명된다. 젊은 부부들은 생계를 위해 맞벌이하기 일쑤였고, 그들의 어린아이들은 마땅히 의탁할 곳이 없었다. 당시에는 보육과 돌봄은 오롯이 가족의 책임이던 시절이다.
이 지역으로 일군의 여성 활동가들이 모여든다. 그들은 이 여성 노동자들의 자녀를 돌보는 데 힘을 합친다. 각기 다른 배경과 사연을 간직한 이들이 '탁아운동'을 펼치기 시작한다. 열악한 조건과 함께 관이 통제하지 않는 자율적 영역이 형성되는 것을 불온시한 정부의 감시와 탄압도 따라붙는다. 공부방은 사복경찰의 상시적인 사찰을 감내하는 한편, 열악한 물적 자원을 마련하기 위해 고군분투를 거듭한다.
살림에 보탬이 되기 위해 어린 나이에 산업현장에 뛰어든 여공은 하필 동네에 있던 공장이 한국에서 첫 여성 대표자를 배출한 동일방직인 까닭에 정당한 권리투쟁에 참여했다가 블랙리스트에 올라 취업 길이 봉쇄되고 만다. 생계가 막막해지자 시골로 내려가 여성농민운동의 선구자가 된다. 누군가는 여전히 공부방과 돌봄 지원기관에서 현장을 지키고, 다른 누군가는 세상을 바꾸기 위해 정치 일선에서 활약 중이다. 카메라는 차례로 이들의 과거와 현재를 소환하는 여정을 이어간다.
공간의 과거와 현재 역사가 마치 인물의 생애처럼 스며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