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나는 할아버지가 가장 예뻐하던 손녀였다> 스틸컷
인디그라운드
*이 글은 영화의 스포일러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01.
사랑하는 존재를 떠나보내는 경험을 하지 않아도 되는 사람은 없다. 우리는 모두 언젠가 영원한 이별을 경험해야만 하고, 그로부터 가장 순도 높은 슬픔의 감정을 배우게 된다. 슬픔은 빠르게 지워지지 않는다. 행복이 휘발성이 높은 성질의 감정이라면, 슬픔은 점도가 높은 쪽에 속한다. 오래전부터 사십구재(四十九齋)나 삼년상(三年喪)과 같은 장례 풍습을 이어왔던 까닭 역시 그런 이유 때문일 것이다. 고인을 기리고 기억하는 목적과 더불어 쉽사리 떨쳐낼 수 없는 상실의 감각으로부터 잘 회복하기 위한 시간을 마련하고자 하는 것.
영화 <나는 할아버지가 가장 예뻐하던 손녀였다>의 첫 장면은 할아버지의 뒷모습을 그리는 손녀 연주(김세원 분)의 모습으로 채워진다. 그것도 잠시, 타이틀이 영화의 시작을 알리자마자 장례의 모습이 이어진다. 조금 전, 연주가 사랑스럽게 바라봤던 존재와 이별하는 장면이다. 슬픔에 잠긴 가족들 모습 사이로 그의 모습 역시 함께 등장하지만 지금 자신을 휘감고 있는 감정이 어떤 것인 것 조금 헷갈리기라도 하는 듯 복잡한 표정이다. 마지막 한마디를 전하라는 아빠 준석(임호준 분)의 말에도 아무런 말을 꺼내지 못하는 모습. 영화는 그런 연주의 모습을 따라 소중한 존재를 잃은 사람과 가족의 모습을 조용히 뒤따른다.
02.
"자연 순환된다는 게 사라진다는 거야? 이제 아예 없는 거냐고."
이 작품에는 두 가지 특징적인 연출과 한가지 보편적이면서도 현실적인 설정이 함께 활용되고 있다. 먼저 특징 한 가지는 대상이 되는 인물의 상실을 이야기의 시작점에서 바로 등장시키고 있다는 점이다. 1분가량의 첫 신을 통해 할아버지와 손녀가 지금까지 어떤 관계를 형성해 왔는지 충분히 엿볼 수 있지만, 그것을 감안하더라도 가족이 장례를 치르는 장면은 예상 밖의 지점에서부터 시작된다.
여기에는 분명 단편 영화라는 한계가 영향을 주었을 것이지만, 영화의 내러티브 전체를 놓고 보면 할아버지의 사랑이라는 보이지 않는 소재 및 속성에 대한 믿음이 깔려있다고도 볼 수 있다. 특별한 에피소드를 보여주지 않더라도 (영화의 마지막에서 수첩을 통해 온점이 찍히기는 한다) 부정할 수 없는, 결코 훼손될 수 없는 감정에 대한 신뢰다.
두 번째 특징은 할아버지의 장례가 끝난 이후의 현실 장면과 임종 직전의 기억들이 서로 교차하며 엇갈리는 형식으로 혼재하고 있다는 점이다. 병실에서 고통스러워하는 할아버지의 목소리와 자신의 팔을 강하게 붙들던 할아버지의 손을 마주 잡지 못하고 억지로 떼어내려고 했던 연주의, 짙은 그림자처럼 오래 이어지는 죄책감을 표현하기 위한 방법이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조금 더 깊이 들여다보면 여기에는 누군가의 상실 이후 쉽게 지워지지 않는 감정의 흔적을 시각적으로 구현하겠다는 백민주 감독의 의지가 엿보인다. 슬픔보다 더 중요하게 여겨지는 것만 같은 할아버지의 사망진단서처럼 스스로 깨고 싶지 않은 내면을 찢으면서까지 차고 들어오는 현실의 일들이 이와 같은 형식으로 그려지고 있다(실제로는 현실을 아직 해소되지 않은 감정과 기억이 파고드는 것 같은 기분을 느끼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