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 타이거즈 선수들이 17일 오후 인천 SSG 랜더스필드에서 경기 종료 후 2024 KBO 정규리그 우승을 축하하고 있다.
기아타이거즈
여섯 살 때쯤 아버지 손을 잡고 자연스럽게 광주 무등경기장에 갔던 그 순간부터 이미 정해져 있었다. 평생 기아 타이거즈를 응원하겠구나. 30년 가까이 타이거즈 야구를 보면서 사연 없는 우승은 없었지만, 2024년 정규리그 우승은 그 어느 때보다도 드라마틱했다.
그도 그럴 것이, 많은 전문가들이 기아를 전력상 강팀으로 분류하기는 했지만, 시즌이 시작하기 전부터 끝날 때까지 바람 잘 날 없는 여러 사연이 있었기 때문이다.
#1. 80년대생 감독의 형님 리더십
올해 초 스프링캠프를 떠나기 전, 예상치 못한 사건으로 감독이 계약 해지되는 일이 터지고 말았다. 기아 프런트는 부랴부랴 새 감독 선임에 나섰다. 그 과정에서 수많은 후보가 물망에 올랐지만 최종 선택은 1981년생의 젊은 이범호 감독이었다. 최초의 80년생 감독이 탄생한 순간이다. 일부 베테랑 선수들은 감독님에게 '형'이라고 부를까봐 조심스럽다고 밝히기도 했다.
가장 젊은 감독인 만큼 팬들은 응원하는 마음이 더 컸지만 우려의 시선도 분명 존재했다. 단 10자리만 존재하기 때문에 야구인이라면 누구나 꿈꾸는 영광이기도 하지만 성적 부진에 대한 책임도 무시할 수 없기 때문이다. 감독의 작전 하나, 선수 기용 하나가 패배로 직결되는 순간에는 언론 보도는 물론, 온라인 커뮤니티와 SNS 등에서 구설수에 오르게 된다.
특히 기아는 전국 어디를 가나 구름같은 팬들을 몰고 다니는 전국구 구단이어서, 다른 팀보다 훨씬 더 많은 이야기가 오가게 된다. 지난 7월 마지막 날, 두산 베어스와의 홈 경기에서 30점을 주는 '역대급' 패배 경기 이후, 정규 시즌 1위를 달리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감독의 경기 운영을 비판하는 트럭 시위가 등장하기도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감독은 이른바 '형님 리더십'을 바탕으로 묵묵히 자기만의 길을 걸었다. 선수 시절부터 기아에서 뛰면서 팀에 대한 깊은 애정을 보여줬던 그는 코치 시절부터 선수들과 관계가 돈독했다. 승리를 위해 팀의 고참 투수이자 '대투수'로 인정받는 양현종을 조기에 강판시키면서도 뒤에서는 백허그를 하는 모습, 쉬는 시간에 선수‧코치들과 어우러져 비디오 게임을 즐기는 모습 등을 보면 감독과 선수들이 돈독하게 '원팀'으로 뭉쳐 있다는 느낌을 강하게 받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