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료들의 생명줄 거머쥔 노동자의 딜레마
한양중공업 사무직으로 일하는 입사 4년째 '강준희' 대리는 부서를 이동해 인사팀으로 발령받는다. 회사는 경영실적 악화로 채권단의 구조조정 압력에 시달리는 중이다. 이미 지난 몇 년 동안 다양한 자구책을 시행해 왔지만, 경영위기는 여전히 현재형이다. 그는 인사팀에 오자마자 누구라도 반기지 않을 지시를 받는다. 사무직에서 150명을 정리하라는 구조조정 계획이다. 처음엔 질겁하지만, 준희는 위에서 내려온 지시사항인 동시에, 입사 후 피부로 느껴온 회사의 위기를 근본적으로 타개하기 위한 사명감으로 불가피한 일이라 받아들인다.
인사팀 내에도 구조조정 지시에 관한 생각은 다르다. 오랫동안 한솥밥 먹어온 직장 선후배들을 살생부에 올려야 함은 물론, 본인도 대상이 될 위험을 감수해야 하기 때문이다. 부서 인원은 고작 5명인데 팀장은 상급자 보고와 결재에 바쁘고, 차석인 부장은 거듭된 구조조정 진행에 염증이 난다며 태업과 준하는 행태로 일관한다. 결국엔 준희와 '사수'인 '동우'가 이 난제를 떠맡아야 한다. 준희는 주말도 반납하고 최대한 공정한 기준을 설정해 150명 인원 감축 공식을 도출하고 만다, 물론 마음은 무겁다.
고작 대리 직급이지만, 능력을 인정받은 덕분에 어쩌다 보니 동료들의 생사를 좌지우지하는 권한을 행사하게 된 준희는 성취감 대신 죄의식에 휩싸인다. 그가 고안한 기준에 삽입된 문구 하나로 오랫동안 헌신해온 직장을 떠나는 이들이 주변에서 발생했기 때문이다. 그래도 인사팀 내에선 갑론을박 와중에도 사명감을 가지고 회사를 살리자는 공감대가 싹튼다. 이제 150명 대상자 중 희망퇴직을 최대한 설득해내 정리해고는 최소화할 일만 남았다. 마음은 무겁지만, 결의를 다지고 이제 개별 면담을 진행해야 한다.
하지만 인사팀의 고진감래는 시작부터 삐걱대기 시작한다. 임원들은 자신들의 연줄로 구조조정 열외를 자꾸 만들어낸다. 그 빈자리는 원칙과 기준대로라면 해당하지 않는 애꿎은 피해자로 채워야 한다. 준희와 동우는 공적 기준을 지켜야 한다며 항의해 보지만, '높으신 분들'의 지시는 절대적이다. 팀장 역시 머리를 싸매고 고통스러워한다. 준희는 존경하는 예전 부서장과 친한 선배 중 한 명을 해고 예정자로 택일해야 할 벼랑에 몰린다. 회사를 살리기 위해 그는 어떤 선택을 해야 할까? 그렇게 하면 회사가 과연 진통을 견디고 부활할 수 있을까?
정리해고법 도입 이후 변모한 노동현장의 생생한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