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트위스터스> 스틸컷
워너브라더스 코리아
미국스러운 도전과 사랑
<트위스터스> 속 주인공은 이 특유의 정서를 온몸으로 뿜어낸다. 케이트와 타일러, 그리고 하비까지. 그들은 모두 프런티어 정신으로 가득하다. 일견 무모해 보이는 모험과 도전에 온몸을 내던지는 걸 주저하지 않는다. 그들의 서부는 토네이도다. 수단은 다르지만 각자의 방법으로 토네이도에게 도전장을 던지면서 자연을 길들이려고 한다.
타일러는 토네이도 속으로 돌진해서 불꽃놀이를 하며 토네이도 자체를 즐긴다. 하비는 조금 더 생산적인 시도를 한다. 3차원으로 토네이도를 스캔해 토네이도 예측 경보 시스템의 정확도를 높이려고 한다. 케이트는 가장 무모하다. 그녀는 아예 토네이도 자체를 소멸시킬 수 있는 기술을 연구한다. 이처럼 토네이도 속으로 돌진하는 모습은 미지의 땅이었던 서부로 나아가던 과거 미국인과 크게 달라 보이지 않는다.
그와 동시에 이들은 철저한 청교도주의자다. 케이트는 자기 욕심 때문에 애인과 친구들을 사지로 내몰았다는 죄책감에 빠져 있다. 그토록 좋아한 토네이도에 접근하는 것조차 두려워할 정도로. 하지만 그녀는 기어코 자기 힘으로 트라우마를 극복한다. 타일러의 도움을 받기는 하지만, 과거에 포기했던 연구를 다시 시작해서 토네이도를 없앨 방법을 자기 힘으로 찾아낸다. 지극히 미국인다운 성장 서사라 할 수 있다.
이에 더해 <트위스터스>는 할리우드 영화답게 미국스러움을 표현한다. 프런티어 정신을 로맨스와 오버랩한다. 케이트와 타일러가 토네이도라는 관심사와 토네이도를 길들이겠다는 욕심이라는 공통분모를 바탕으로 호감을 키워 나가는 식이다. 둘 사이의 기류를 대놓고 보여주지 않아서 더 인상적이다. 중심에 두지는 않되, 마지막까지 동료와 연인 사이에서 줄을 탄다. 이러한 완급조절 덕분에 영화는 뻔하지만, 세련되게 느껴진다.
위기의 미국에 건네는 희망
그렇다고 <트위스터스>를 프로파간다로만 볼 수는 없다. 미국 사회의 위기를 지적하고, 미국인답게 문제를 돌파하려고 노력하기 때문. 하비가 대표적이다. 그는 연구비를 받기 위해 한 기업가의 손을 잡는다. 하비는 토네이도 경로를 빠르게 예측해 알려주고, 그의 파트너는 토네이도 피해지역에서 피해자들의 집과 땅을 헐값에 사들인다. 이는 자본의 영역이 아니었던 사회적 공간까지 자본화되는 세태를 지적하는 장치라 할 수 있다.
일각에서는 이를 하비의 연구를 위한 필요악이라고 할 수도 있다. 그러나 <트위스터스>는 타일러를 내세워 다른 가능성을 모색한다. 토네이도를 향해 돌진하는 그는 얼핏 보기에 조회수에만 혈안인 유튜버다. 수익을 최우선으로 추구한다는 점은 하비의 파트너와도 다르지 않아 보인다. 하지만 그가 유튜브를 하는 이유가 밝혀지면서 상황은 반전된다. 그와 그의 팀은 토네이도 피해자들을 돕기 위해서 유튜버 활동을 했기 때문.
타일러의 선행은 자기 계발을 중시하면서도 험지를 같이 살아가는 공동체를 향한 사랑과 자비 역시 강조한 청교도주의의 발현 그 자체라고 할 수 있다. 그렇기에 케이트가 타일러에게 감화되는 플롯 역시 의미심장하다. 토네이도에 겁을 먹고 뉴욕으로 도망쳤던 케이트. 그녀는 하비의 권유로 고향인 오클라호마에 되돌아왔지만, 타일러를 만나고 그의 열정과 선행을 지켜보며 본래 자기 모습을 되찾는다.
이러한 맥락에서 보면 케이트의 변심은 고도로 자본주의화된 미국 사회가 본래의 정신과 이상을 되찾기를 바라는 희망이 깃든 비유처럼도 보인다. 영화의 배경이 하필이면 서부 그 자체인 오클라호마이기에 더욱 그렇다. 따라서 <트위스터스> 속 토네이도는 자연재해 그 이상의 의미도 지닌다고 볼 수 있다. 토네이도는 발생 빈도가 높아지는 이상기후 현상이자 그와 동시에 미국 사회의 현실과 위기를 비추는 거울이기도 한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