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행복의 나라>의 한 장면.
NEW
드라마 <노 웨이 아웃 : 더 룰렛>에서는 흉악범, 그리고 영화 <행복의 나라>에서는 군사 반란의 주역이다. 단순 악역이 아닌 소위 내로라하는 배우들도 흔쾌히 맡기 어려운 역할을 배우로서 연이어 표현한다는 건 어떤 마음일까. 특히나 <행복의 나라>에서 그가 맡은 전상두는 우리가 아는 전두환씨를 상징하는 캐릭터다. 이미 수차례 여러 영화와 드라마에서 다룬 그 인물을 배우 유재명이 새롭게 해석했다.
8일 서울 삼청동의 한 카페에서 만난 유재명은 '다행'이라는 표현을 몇 차례 사용했다. 그도 그럴 것이 영화가 다루고 있는 이야기가 10.26 군사 반란의 전말이 아닌 두 개인의 사연에 방점을 찍고 있기 때문이다. 자칫 유재명의 전상두가 강조될 경우 이야기의 균형감이 깨질 우려가 있었다. 그가 한 차례 역할을 거절한 이유기도 하다.
"전두환, 악당이라는 단어만으로는 표현될 수 없는 인물"
계엄령 정국에 군인이라는 이유만으로 항소도 하지 못한 채 내란죄(대통령 암살) 명목으로 16일 만에 형장의 이슬이 된 박태주 대령(이선균). 그리고 그를 변호한 정인후 변호사(조정석). 이 두 캐릭터 사이에서 전상두는 자칫 기능적으로 소모될 여지가 있어 보였다. 출연 제안을 한 차례 거절했던 유재명은 "돌아서니 자꾸만 잔상이 남았다"라는 이유로 영화에 합류했다.
"전상두라는 인물이 10.26에서 어떤 태도를 취했고, 어떤 작전을 펼쳤는지 영화에 드러나지 않는다. 솔직히 두세 장면 더 있었으면 싶었다. 제게 주어진 분량은 순간순간을 끊어서 보여드리는 게 전부였거든. 만약 이 작품이 밀실에서 자신들의 이익을 모색하는 검은 권력자들에 대한 이야기였다면, 저도 상상력을 발휘해서 전상두를 표현했을 것이다. 하지만 이 작품에서 전상두는 다분히 상징성이 강한 인물이었고, 뒷짐 지고 돌아서는 모습이 대부분이었다.
그래서 영화를 보는 내내 제 연기를 보는 게 조마조마했다. 골프장 장면이 나오기 전까진 박태주와 정인후를 따라가는 인물이었거든. 결과물을 보니 솔직한 말로 다행이다 싶었다. 내 순간 이기심으로 이야기의 균형감을 깨뜨리지나 않을까 싶었거든. 기발한 상상력, 시대를 넘나드는 영화도 좋지만 이렇게 개인에게 켜켜이 쌓은 고뇌를 통해 시대를 보여주는 것 또한 영화의 본류 중 하나라는 생각이 들었다."
이번 영화를 위해 머리도 밀었다지만, 그 사실보다 중요한 것은 유재명이 쌓아온 악역의 계보였다. <노 웨이 아웃>의 김국호, 좀 더 거슬러 올라가면 드라마 <비밀의 숲>에서 처세술의 달인이었던 이창준 검사가 있다. 여기에 전상두를 더해보면 분명 유재명만이 쌓아온 악역 캐릭터들의 개성이 엿보인다. 유재명은 무자비함과 예의 없음이라는 단어로 표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