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이드 아웃 2> 스틸컷
월트디즈니 컴퍼니 코리아
<인사이드 아웃 2>의 핵심은 사춘기다. 13살 청소년은 여러 변화를 겪는다. 부모님과 난 데 없이 싸우기도 하고, 과거와 다른 취미를 갖거나 머리 스타일을 바꾸기도 하고, 새로운 친구를 만나기도 한다. 좋아하는 것과 잘하는 것 사이에서 고민하며 미래를 걱정하기도 한다. 순수한 어린아이가 비아냥거리는 법도 터득한다.
극 중 기쁨과 불안의 대립은 사춘기의 혼돈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기쁨은 현상 유지가 목표다. 라일리가 즐겁고 재밌는 기억만 간직한 채 지금 모습 그대로이길 바란다. 안 좋은 기억은 무의식 저편으로 던져 버리고, 라일리의 자아를 좋은 기억으로만 채우려 한다. 하지만 새 친구와 환경을 마주한 라일리에게 기쁨은 도움이 되지 않는다. 기쁨의 지시를 따르자 하키 캠프에서 선배들에게 찍히고, 코치에게 한 소리를 듣기만 하니까.
이에 감정 컨트롤 본부는 이제 불안에게 넘어간다. 불안은 하키 캠프나 고등학교를 비롯해 아직 정해지지 않은 미래만을 걱정한다. 부정적인 예상과 미래만 라일리에게 보여주면서 라일리를 다그친다. 처음에는 불안이의 계획이 통하는 듯하다. 라일리는 롤모델인 '밸'(릴리마르)의 눈에 들고, 선배들과 코치에게도 실력을 어필한다. 하지만 불안이 이어지면서 라일리는 친구들과 멀어지고, 자기 신념과 확신마저 잃어버린다.
하지만 기쁨도, 불안도 잘못은 없다. 이 모든 변화가 '나'를 찾기 위해 필연적으로 겪어야 하는 과정이니까. '신념 저장소'의 변화가 이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처음에는 기쁨이 가져다 놓은 기억만 가득하지만, 나중에는 불안이 가져놓은 기억이 더 많아진다. 끝내는 모든 기억이 한 데 뒤엉켜서 상황에 맞춰 변화하는 새로운 라일리의 자아를 만들어 낸다.
픽사는 이번에도 픽사했다
따라서 기쁨과 불안의 갈등은 결국 어른이 되어가는 과정에 대한 고찰이나 다름없다. 고유한 자아와 신념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모든 감정이, 그리고 모든 기억이 있는 그대로 제 역할을 해내야 한다고. 좋은 기억과 안 좋은 기억 모두를 있는 그대로 곱씹어 볼 수 있을 때 비로소 진정으로 성장한 것이라고.
그러니 기쁨의 비중과 역할도 자연히 줄어들 수밖에 없다. 그렇다고 기쁨이 단지 유치한 어린 시절의 기억으로만 남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가장 불안하고 힘든 순간마다 과거의 기쁜 기억이 '나'를 지탱해 줄 테니까. 이는 결국 기쁨이 다시 감정 컨트롤 본부를 제어하는 이유다. 슬픔도 다른 감정만큼 중요하다는 전편의 메시지와 유사한 귀결이지만, 한 발 더 나아간 셈이다.
라일리의 성장 서사는 성인 관객이 더 감동받는 대목일 수도 있다. 특히 20대나 30대 초반 관객에게 어필할 수 있는 지점이 커 보인다. 대학생에서 사회인으로 발돋움하는 또 한 번의 사춘기를 거치는 시기에는 기쁜 일보다 우울한 일이 많을 수밖에 없다. 이런 상황에서 <인사이드 아웃 2>는 각자의 사춘기를 되짚어 보고, 지금의 자기 상황도 투영하면서 위로를 받는 시간이 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라일리의 성장은 생각보다 더 거시적으로 보이기도 한다. 그녀는 '밸이나 코치가 보는 나'보다 '내가 보는 나'가 더 중요하다고 깨닫는다. 그런데 이 교훈은 청소년뿐만 아니라 성인에게도 유효하다. SNS의 영향력이 커질수록 타인의 시선을 의식하고 따르는 게 중요해진 현대 사회를 고려하면 더욱 그렇다. 즉, <인사이드 아웃 2>는 현대 사회가 나날이 불안 사회가 되어가는 이유까지도 예상치 못하게 보여주는 듯하다.
탄탄한 기초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