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나 난지와 지피 키문두 감독미나 난지 감독(좌)과 지피 키문두 감독(우)이 매년 봄 독일 뮌헨에서 열리는 독페스트 다큐영화제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DOK.Fest
- 이 영화의 소재에 대한 영감은 어디서 얻게 되었나.
미나 난지 : "저는 케냐에서 태어났고 10살쯤에 케냐를 떠났다. 하지만 저는 그곳에서 보냈던 어린 시절의 아름다운 추억은 여전히 매우 생생하다. 2012년경 영국이 운영한 케냐의 강제수용소를 폭로한 <영국의 굴라그: 케냐 제국의 잔인한 종말>이라는 역사책을 읽게 되었다. 어렸을 때도 독립운동에 관심이 있었지만 엘켄스 교수의 이 책을 읽은 후 이에 관한 다큐멘터리를 꼭 만들어야겠다고 생각했다."
지피 키문두 : "저는 이 역사에 대해 침묵하던 집안에서 성장했다. 우리 가족 중 마우 마우 운동을 했던 이들도 있었고 반대편에서 영국편에 협력했던 이들도 있었다. 제게 이 영화작업은 제 자신의 역사를 배울 수 있는 기회였다. 또한 토지 이슈는 제게도 매우 사적인 문제다. 2002년 케냐에서 처음 다당제 선거가 실시되었을 때, 저희 집은 방화로 인해 불에 타버렸고 토지는 압류 당했다. 이런 일련의 사건들은 영국 식민지 시대의 '분할 통치' 전략에 뿌리를 둔 부족간 갈등으로 인해 발생한 정치적 혼란 속에서 일어났다. 안타깝게도 이러한 분열은 오늘날에도 우리 국민을 계속 고통스럽게하고 있다. 저는 이 영화가 국민간 통합과 화해를 촉진하고 국가적 치유를 위한 영감이 되기를 희망한다."
- '마우 마우 독립운동'이 케냐 역사에서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미나 난지 : "영국의 케냐 식민지 시절, 영국정부는 원주민들의 토지를 빼앗았고, 이에 대한 즉각적인 저항이 있었다. 토지의 평화적 반환을 위한 초기 협상은 영국에 의해 무시되었고,1940년대 후반부터 데단 키마디가 이끄는 '케냐 토지&자유군'이라는 독립운동 성격의 무장 저항이 일어났다. 데단 키마디는 정치적 독립과 토지 정의를 실현하는 유일한 방법은 무장 투쟁뿐이라고 생각했다.
이를 두려워했던 영국정부는 마을을 무차별 폭격하고 여성과 어린이를 포함한 이들을 강제수용소에 가두는 등 집단 처벌을 가하며 강력한 탄압으로 대응했다. 또한 영국은 영화, TV, 라디오부터 학술서적, 인류학, 뉴스 매체를 활용해 마우 마우 독립운동에 참여한 원주민들을 '무분별하게 폭력적이고', '극단적'이며, '문명화가 필요한 야만인'으로 묘사하는 프로파간다 전쟁을 벌였다. 이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강력한 고정관념으로 남아 있다. 하지만 과연 누가 야만인이었나 묻고 싶다. 누가 다른 사람들의 땅을 빼앗고, 이들을 죽이는 잔인하고 폭력적인 시스템을 도입하고 실행했나.
영국이 땅을 강탈한 역사적 사실을 인지하고, 이 억압의 역사를 극복하기 어려운 현재의 빈곤한 현실과 연결 짓는 것은 중요하다. 아프리카의 엘리트들은 영국 엘리트층으로부터 같은 경제 구조를 물려받았다. 즉, 땅이 없는 사람들은 땅을 가질 수 없는 그 구조는 그대로 유지되고 있다. 우리는 우리 자신의 관점에서 스스로의 역사를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래야 앞으로 나아갈 수 있다. 물론 앞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먼저 뒤를 돌아봐야 한다."
- 데단 키마디가 남긴 역사적 유산은 무엇이라고 보나.
미나 난지 : "좌파 성향의 사람들은 그를 정말 영웅으로 여긴다. 그의 이미지가 그려진 티셔츠와 머그잔에서 그를 쉽게 찾을 수 있다. 대중적인 차원에서는 다소 엇갈리는 반응을 볼 수 있는데 이는 그가 이끈 독립운동이 36명의 백인 정착민을 살해한 무장 저항이었기 때문이다. 반면, 수만명의 아프리카인들이 영국군에 의해 살해된 맥락이 있다. 현 정부는 마우 마우가 우리의 독립투사라고 공개적으로 말했고, 대통령은 그의 시신을 찾고 싶다고 말했다. 즉 상징적인 의미에서 그는 매우 중요한 인물이다. 또한, 마우 마우의 독립투쟁은 다른 지역의 반식민지 투쟁에 상상력을 고취했다. 예를 들어 넬슨 만델라는 케냐에서 일어난 일에서 큰 영감을 받았으며, 말콤 엑스와 블랙 팬서 역시 마찬가지였다. 한마디로 데단 키마디는 당시 아프리카의 체 게바라로 여겨졌다."
- 2003년에 마우 마우에 대한 금지령이 해제되고, 2007년 수도 나이로비에 키마디 동상이 세워지게 된 배경이 궁금하다.
미나 난지 : "한마디로, 새 정부가 들어섰다. 이전 정부에서는 영국정부에 충성한 세력이 집권했다. 새 대통령은 가족 중에 독립운동에 참여했던 이들이 있었다. 그는 자신이 할 수 있는 일을 한 것이다. 당시 금지령해제는 엄청난 일이었다. 아울러 키마디 가족은 동상을 세우기 위해 정말 열심히 싸웠다.
또한, 식민지 치하의 삶을 경험한 이들은 모두 70~90살의 고령이 되었다. 그들은 삶에 너무 지쳐서 살해 당하는 것도 두려워하지 않았고, 가난하고 소외된 자신들이 더 이상 잃을 것이 없다는 생각에 진실을 말하기 시작했다. 이것은 큰 변화를 가져왔다. 물론 '식민지 시대는 잊고 앞으로 나아가자'고 생각한 시민들도 있었다. 한편, BLM(흑인의 생명도 소중하다) 운동은 큰 영향을 미쳤고 케냐의 대중문화도 변화시켰다. 이는 우리에게도 전환점이 되었다. 미국의 조지 플로이드 사건을 중심으로 탈식민주의 운동이 시작되면서 우리 프로젝트도 주목받기 시작했고 영화 투자를 받는 데 큰 도움이 되었다. 그 전에는 식민주의는 고루한 주제라고 여긴 경향이 있었다."
"그들이 할 수 있는 최고의 사과는 배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