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별세한 정광석 촬영감독
한국영상자료원 소장자료
1960년대 한국영화 첫 르네상스의 주역이었던 정광석 촬영감독이 8일 별세했다. 향년 92세.
정광석 촬영감독은 1956년 정창화 감독 <장화홍련전>에 스태프로 들어온 이후 1962년 조봉래 감독 <새댁> 촬영감독이 됐고 이후 1984년 배창호 감독 <고래사냥>, 하명중 감독 <땡볕>, 1985년 배창호 감독 <깊고 푸른 밤>, 1989년 박종원 감독 <구로아리랑>, 1991년 박광수 감독 <베를린리포트>, 1993년 강우석 감독 <투캅스>, 1996년 한지승 감독 <고스트 맘마>, 1996년 이명세 감독 <지독한 사랑>, 1999년 <인정사정 볼 것 없다> 등 1980년~1990년대 한국영화 대표작이 그의 손을 거쳤다. 필모그라피만 185편에 달한다.
1935년 서울에서 태어난 정광석 감독은 일제강점기와 해방기에 유년 시절을 보내며 서대문 동양극장에서 몰래 본 영화 속 스크린 세상이 운명처럼 20대의 그를 영화계로 이끌었다. 한국전쟁 때 군에 입대해 육군본부에서 사진 촬영과 현상을 담당해 촬영 기술의 기본을 익혔고, 홍성기 감독의 연출부로 있던 지인의 집요한 설득으로 정창화 감독 <장화홍련전>(1956) 조명부로 영화계에 입문했다가 김영순 촬영감독의 눈에 들어 촬영부로 옮겼다.
데뷔작부터 실력을 인정받아 수많은 작품의 촬영을 꾸준히 맡아 했고 1968년 한 해에만 12편의 작품을 촬영하기도 한 실력있는 촬영감독이었다. 유능한 기술뿐 아니라 모든 작품을 이해하고 기억하는 능력, 현장에서의 순발력 등이 작용했다. 그가 생각하는 촬영감독은 단지 감독의 요구대로 촬영하는 오퍼레이터가 아니라 미학적 판단과 결정에 관여할 수 있는 자의식을 지닌 예술가여야 한다는 것이다. 정광석 촬영감독은 이를 직접 경험으로 보여줬다.
시카고영화제에서 촬영상을 받은 <땡볕>(하명중, 1984)의 대표적인 이미지는 춘호가 죽어가는 순이를 지게에 지고 물길을 거슬러 가는 장면으로, 아름다운 풍경 속에 배치된 인물들이 잔인한 운명에 얼마나 무력한지를 역설적으로 보여줬다. 이 장면은 촬영을 끝내고 철수하는 중 그가 우연히 바라본 풍경에 매료되어 연출자에게 제안해서 만들어낸 장면이었다.
1980년~1990년대 신인감독 조력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