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1년 8월 1일 오전 12시 1분, 24시간 음악방송국 MTV가 개국 첫 방송을 송출했다. 역사적인 첫 번째 송출 영상은 영국 뉴웨이브 그룹 버글스의 "Video Killed the Radio Star" 뮤직비디오였다. 제목부터 너무나 상징적인 첫 방송 이후 팝 음악은 듣는 것에 그치지 않고 보는 것으로 변신했다. 그리고 뮤직비디오는 MTV의 대성공과 함께 음악산업 성공의 지렛대이자 대중문화 전반에 거대한 파급효과를 던지는 소재가 되었다. 버글스의 노래 제목은 무척 상징적이었지만 음악산업의 경향이 변화했을 뿐, 음악이 사라지진 않았다. 뮤직비디오의 짧은 시간 내에 시선을 잡아끌어야 하는 호소력은 당시에는 장편영화에 악영향을 미칠 것이란 우려 또한 컸지만, 영화 역시 영향을 받긴 했으되 사라지진 않았다. 그리고 1980-90년대 MTV 뮤직비디오 계의 기린아로 떠오른 일군의 감독들은 이후 약속이나 한 듯 대부분 영화의 문을 두드렸다.
지금 우리에겐 상업성과 예술성의 경계를 횡단하며 흥미로운 화두를 던지고 있는 숱한 거장 감독들이 그로부터 출발했다. <세븐>과 <패닉 룸>, <소셜 네트워크>의 데이빗 핀처는 '팝의 여왕' 마돈나의 전성기 뮤직비디오를 도맡았고, <존 말코비치 되기>와 <그녀>의 스파이크 존스 vs <이터널 선샤인>의 미셀 공드리는 1990년대 MTV 최고의 라이벌 관계로 무수한 걸작을 남겼다. 그리고 조나단 글레이저가 또 다른 봉우리의 하나로 존재했다. 라디오헤드나 블러, 매시브 어택 같은 당대 정상급 아티스트 뮤직비디오를 담당했던 그의 대표작은 역시 한 시대를 풍미한 그룹 자미로콰이의 대표곡 "Virtual Insanity"이다. 움직이는 벽과 상징적인 장치들, 사회비판 색채가 짙은 가사와 인공적인 실내공간에 설명 없이 등장하는 수수께끼 같은 배경들은 사반세기가 넘게 지난 지금 봐도 참신하고 새롭다.
그런 성공을 거둔 후 조나단 글레이저 역시 영화계로 전입한다. 그리고 2014년 선보인 <언더 더 스킨>으로 영화감독 경력에 한 획을 그었다. 그러나 영화감독으로 상당한 비평적 성공을 거둔 뒤 10년간 그의 장편 신작은 아무 소식이 없었다. 많은 이들이 궁금해했다. 어떤 이들은 비주얼 이미지를 뽑아내는데 탁월한 실력을 뽐내지만, 서사가 부족하다는 한계를 지적받곤 하던 여러 선례를 떠올리기도 했다. 좋은 시나리오 각본을 만나지 못하면 빈약한 이야기 때문에 실력을 발휘하지 못하는 경우가 허다하지 않은가.
그러던 중 10년만에 조나단 글레이저의 신작이 돌아왔다. 그리고 극찬과 호평을 독식하기 시작했다. 직접 확인한 영화는 형언하기 힘든 경이로움으로 가득 차 있었다. 과연 대체 내가 본 게 무엇일까 자문자답하게 될 만큼.
희생자를 전시하지 않는 홀로코스트 영화의 탄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