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대도시의 뒷골목 풍경, 점점 닮아간다
세계 주요국가 대도시들은 국경을 넘어 점점 닮은꼴이 되어간다. 적당히 세계 공통의 편의성과 공공서비스가 통용되면서 일정하게 해당 국가/도시만의 특색이 묻어나도록 도시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하는 게 공통된 흐름이라 하겠다. 이국적인 풍광과 휴양 위주가 아니라면 상대적으로 안전하고 연계성이 좋은 대도시 여행은 많은 이들에게 '로망'이 되어간다.
하지만 굳이 '오버투어리즘'이란 신조어를 대입하지 않더라도 평범한 일상을 살고픈 이들에게 외부 방문객은 자부심인 동시에 낯설고 부담스러운 존재들이기도 하다. 일시적으로 다녀가는 관광객, 혹은 상대적으로 신뢰성이 가는 유학생이나 전문직은 모르겠지만 상대적으로 안정된 1세계 권 국가의 대도시로 스며드는 '초대받지 않은 손님', 미등록 이주노동자나 난민은 대도시의 단면 중 하나가 되어간다. 비단 합법의 경계선에 속한 이들뿐 아니라 상대적으로 저개발국, 가난한 나라에서 온 이들은 도시기능 유지에 기여하면서도 이등/삼등 시민 취급을 당한다. 그런 이들이 뒤섞여 도시 내 구도심 혹은 외곽 변두리에 집단적으로 거주하게 마련이다.
해당 공간들은 부정적으로 언급할 때는 '슬럼', 순화시키면 '다문화타운' 등으로 불리곤 한다. 흔히 우리는 도입하고 싶은 부분만 들여 오고 꺼리는 건 보기 싫어하지만 이는 애초 불가능한 소망이다. 서울에서 가리봉동이나 대림동의 (몇몇 영화에서 '범죄도시'로 취급되는) 풍경과 마라탕이나 양꼬치 맛집은 떼어낼 수 없는 요소이기 때문이다. 이태원, 홍대권이 '핫 플레이스'가 되면서 자연스럽게 변화와 혼란은 함께 들어온다. 그리고 그런 변화를 관찰하다 보면 우리가 살아가는 세계의 현재와 근미래를 일정부분 유추할 수 있기도 하다.
프랑스 수도 파리는 세계의 대도시 중에서도 상징적인 공간으로 치자면 다섯 손가락 안에 꼽힐만한 명소다. 많은 이들이 파리 여행을 꿈꾼다. 그렇지 않아도 '대 여행시대'를 맞이한 한국에서 해마다 수많은 이들이 공들여 파리를 방문한다. 물론 여행의 기억은 동일하지 않다. 어떤 이는 '파리지앵'의 꿈을 이루고, 누군가는 불유쾌한 경우를 당하거나 기대와 다르다며 실망하게 된다. 쓰레기가 굴러다니고 쥐 떼가 득시글거리는 등 거리가 지저분하다거나, 한국의 친절한 공공서비스에 익숙했다 느려터진 일 처리에 진저리를 내거나, 소매치기와 좀도둑에게 피해를 입었다는 사례는 인터넷 검색하면 잔뜩 볼 수 있다. 그중 유명 관광명소 혹은 구도심 일대에서 이주민 출신들에게 봉변당했다는 사연은 흔하디흔하다. 작은 사고라면 다 경험치라 치부하고 추억으로 삼겠지만 범죄에 노출되는 건 다른 문제다.
파리를 무대로 한 영화나 드라마에서 그런 공간과 상황을 접하는 건 어렵지 않은 일이 되었다. 시민들의 의견도 나눠진다. 비합법 이민자나 난민들이 치안을 어지럽히고 도시 이미지에 악영향을 준다는 소리는 이제 세계 어디에서나 목격된다. 특히 관광 가이드북에도 언급되듯이 파리 시가지 내에서도 저녁 시간 이후엔 출입을 삼가라거나 대낮에도 혼자 다니지 말라는 경고가 표시된 10구나 18구는 여러 영화의 배경이 된 지 오래다. <썬 오브 람세스> 역시 그런 계보를 잇는 독특한 변주의 작업일 테다.
가난하고 외로운 이들을 파고드는 '람세스 식 영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