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 <고려거란전쟁> 한 장면.
KBS2
KBS 사극 <고려거란전쟁>에서 지난 28일 제22회까지 쟁점이 됐던 것 중 하나가 고려 주상의 친조(親朝) 문제다. 고려 군주가 거란 군주를 친히 찾아가 알현할 것인가에 관한 양국의 교섭과 갈등이 드라마의 스토리를 이끌었다.
고려는 제2차 고려거란전쟁(여요전쟁)을 군사적으로뿐 아니라 외교적 방법으로도 종결시켰다. 고려 현종은 전쟁 발발 1개월이 안 된 음력으로 현종 1년 12월 10일(양력 1011년 1월 16일) 요나라에 친조를 자청했다. <고려사>의 보충판이자 축약판인 <고려사절요>의 현종 편은 "표문을 올려 알현을 청하였다"고 말한다. 외교문서의 일종인 표문을 올려 직접 찾아뵙겠다는 뜻을 전했던 것이다.
아침을 뜻하는 조(朝)가 알현의 의미로도 쓰인 것은 임금과 신하의 회합이 아침에 있었기 때문이기도 하고, 그런 이유로 임금과 신하의 회합처가 조정(朝庭)으로 불렸기 때문이기도 하다. '아침에 찾아뵙다', '조정에 찾아뵙다' 등의 의미가 조(朝)에 함축됐고, 이것이 알현을 지칭하는 글자 중 하나로 쓰이게 됐다.
이런 친조는 황제와 제후, 혹은 천자와 제후 사이에나 어울렸다. 평화적 관계에 있는 국가의 군주가 친조를 하면 그것은 제후를 자처하는 것이었다. 전쟁 중인 국가의 군주가 그렇게 하면 이는 제후를 자처하는 것에 더해 항복을 한다는 표시였다.
위의 친조 자청이 있은 뒤에도 고려군과 거란군은 계속 전투했다. 그래서 사실상의 항복 선언인 친조 선언이 유야무야해졌다. 그러자 고려는 한편으로는 전투를 계속하면서도 한편으로는 친조 문제의 효력을 살려두는 외교적 노력을 병행했다.
친조하겠다는 표문을 전한 지 20일이 지난 현종 1년 12월 30일(1011년 2월 5일)이었다. 이 시점의 거란군은 친조 요청이 거짓인 것 같다는 판단하에 현종의 신병을 찾는 데 혈안이 돼 있었다. <고려사절요>에 따르면, 이날 현종은 점을 쳤다. 이번에도 친조 카드를 해서 한번 더 속일 수 있을지 알아보기 위함이었다.
점을 쳐보니 길하다는 점괘가 나왔다. 현종은 신하들에게 표문을 쥐어주고 거란 군영을 방문하게 했다. 표문에는 정말로 찾아뵙고 싶었지만 거란군이 두렵기도 하고 고려 내부의 분란이 있기도 해서 친조를 못하고 있다는 하소연이 적혀 있었다. 이 표문을 받은 뒤에 거란군은 현종에 대한 추격을 멈추었다.
<고려사절요는>는 현종 2년 1월 3일(1011년 2월 8일)에도 요성종에게 사신이 파견됐다고 말한다. 고려 사신이 "군대를 돌이켜줄 것을 요청했다"고 <고려사절요>는 알려준다. 철수를 요청했다면 친조 이야기도 당연히 나올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이런 일들이 있은 뒤인 현종 2년 1월 19일(1011년 3월 6일)에 거란군이 압록강을 넘어 되돌아갔다. 한편으로는 고려 의병과 관군이 끝까지 대항하고 또 한편으로는 친조 카드를 앞세워 요성종을 교란하며 철군 명분을 만들어준 것이 이런 결과로 이어졌다고 볼 수 있다.
굴복이나 항복을 뜻하는 친조를 자청하면서도 고려가 전투를 계속한 것은 친조 이야기가 거짓임을 명백히 드러내는 것이었다. 그런데도 요성종이 거듭거듭 귀가 솔깃했던 것은 고려를 무력으로 제압하는 데 부담을 느꼈기 때문이라고 볼 수밖에 없다. '항복을 받아냈다'며 당당하게 철군할 명분이 그에게도 절실했던 것이다.
한민족이 자주 사용한 '친조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