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노량: 죽음의 바다> 스틸컷
롯데엔터테인먼트, 에이스메이커무비웍스
<노량>의 도입부는 앞선 두 편과 유사하다. 모든 플롯을 포괄하는 확실한 콘셉트를 잡았다. <한산>의 콘셉트가 '의로움'이었고, <명량>의 모티브가 '천운'이었듯이. <한산> 속 의병, 항왜, 거북선과 이순신의 화살은 모두 같은 의미였다. 누군가를 지키려는 의로운 전쟁을 상징했다. <명량>은 조류의 변화, 거북선의 등장, 백성들의 응원을 통해 천운을 다양하게 보여줬다. 백성을 위하는 마음이 기적적인 승리의 발판이었다고 암시했다.
<노량>의 콘셉트도 명확하다. '집'이라는 공통 모티브를 살렸다. 당장 명군은 집에 가고 싶은 군대고, 왜군은 집에 가야만 하는 군대다. 도요토미 히데요시 사후 명군은 조선에서 싸울 명분이 없어졌고, 왜군은 본국에서 벌어질 다이묘 간의 내전을 대비해야 하니까. 그래서 왜군과 명군은 치열한 외교전을 벌인다. 집으로 가야만 하는 왜군은 명군을, 집에 가고픈 명군은 굳이 전투를 벌이려는 조선군을 설득하려 애쓴다.
이때 <노량>은 <한산>의 화법을 취해 명군과 왜군의 상황을 묘사한다. 자칫 낯설 수 있는 명군과 왜군과 정치적 상황을 일목요연하게 풀어내며 그들이 싸워야만 했던 이유를 보여준다. 이 대목은 이순신과 와키자카 야스하루가 서로의 전술을 알아내기 위해 첩보전을 펼친 <한산> 전반부를 확장한 버전처럼도 느껴진다. 진린, '등자룡'(허준호), 시마즈 등 새로운 캐릭터들이 자연스럽게 존재감을 과시할 장이기도 하다.
그와 동시에 <노량>의 전반부는 이순신의 개인적 아픔을 보여준다. 영웅의 인간적인 면모를 강조한다는 점은 <명량>과의 공통점이다. 그는 셋째 아들 이면이 왜군과 싸우다 죽는 악몽을 꾼다. 꿈속에서 그는 집을 지키려는 아들을 돕지 못한다. 아들의 이름을 외치며 흘린 그의 눈물에는 차마 왜군을 고이 보낼 수 없는 한이 서려 있다. 이 대목은 조선군의 심정을 대변한다. 조선군은 이순신처럼 돌아갈 집을 잃은 군대이기 때문.
<한산>처럼 보여준 노량 해전
착실히 쌓아 올린 명분과 감정은 100여 분에 달하는 해전 시퀀스로 터져 나온다. 우선 잘 짜인 군무를 보는 것처럼 일사불란하게 움직이는 판옥선이 눈을 사로잡는다. <한산>이 어린진과 학익진을 선보인 것처럼 이번에도 진과 진의 움직임에 주목한다. 일례로 시마즈의 수군을 기습 공격할 때 조선군은 일자진으로 일제히 화력을 쏟아붓는다. 비교적 전투력이 약한 명군을 집중 공격하는 왜군 진영을 일도양단하는 진법도 인상적이다.
동시에 왜군의 반격도 자세히 보여주며 긴장감을 살린다. 시마즈는 위기의 순간마다 함대를 냉철히 지휘하며 마지막 맞수다운 임팩트를 남긴다. 선봉대가 조선군에게 기습당하자 자기 손으로 선봉대를 포격, 침몰시킨 후 활로를 뚫는 대담함을 보여준다. 관음포에 갇히자 고향을 그리워하는 병사들을 자극해 사기를 끌어올린다. 조명 연합군의 협공에는 등자룡과 진린의 함선을 집중 공략으로 맞대응해 전투의 균형추를 맞춘다.
다만 야간이라는 환경은 일장일단이다. 어두운 화면은 조선군의 화력을 강조할 때 유리하다. 특히 조선군이 화포, 총통, 신기전을 총동원해 화력을 퍼붓는 장면은 거친 박력과 압도적인 쾌감으로 가득하다. 하지만 부감샷으로 전체적인 진의 움직임을 보여줄 때는 문제가 된다. 불을 끈 채로 배들이 이동하다 보니 상영관 환경에 따라서는 조선군, 왜군의 움직임이 제대로 보이지 않을 수 있다.
<명량>처럼 터뜨리는 감정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