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서울의 봄>의 한 장면.
플러스엠 엔터테인먼트
물론 쉬운 작업은 아니다. 역사적 평가가 끝난 과거에 집착하지 말자는 목소리에 귀 기울이기는 사실 어렵다. 마지막까지 제대로 된 사죄를 못 받은 만큼, 전두환에 대한 앙심은 불처럼 뜨거울 테니. 이에 <서울의 봄>은 일단 관객의 혼을 빼놓은 후, 서서히 관점을 바꾸기로 결정한다. 그래서인지 초중반부는 마치 전격전을 보는 듯하다. 좋은 의미로 정신이 없다.
<서울의 봄>은 우직하다. 별다른 설명 없이 곧장 본론으로 들어선다. 전두광과 노태건, 그들에 맞서는 이태신과 정상호의 존재감만 보여준 후 바로 쿠데타 현장으로 관객을 초대한다. 진행 과정도 명쾌하다. 복잡한 작전 설명은 없다. 주요 군부대 한 두 개와 지휘관의 현황만 콕 집어 보여주고, 간단한 그래픽으로 상황을 다시 인지시킨다. 컷 전환도 망설임이 없다. 필요한 장면을 보여주면 곧장 다음 신으로 넘어간다.
이는 실화가 스포일러라는 근본적인 약점을 역이용한 각본, 연출, 그리고 편집이라 할 수 있다. 12.12 군사반란은 결과보다 과정이 낯선 사건이다. 학교에서 현대사를 배울 때 이 쿠데타의 결과와 영향은 외워도, 구체적인 과정은 시험에 잘 나오지 않으니까.
<서울의 봄>은 이를 이용해 스포일러로 향하는 과정을 전부 물음표로 바꾼다. 그 덕분에 작전대로 되는 게 하나도 없고, 막을 수 있을 듯 없을 듯하는 일련의 과정은 숨 막히는 긴장감을 자아낸다. '도대체 이 작전이 어떻게 성공한 거지?'라는 의문이 강력한 서스펜스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이처럼 <서울의 봄>은 다큐멘터리와 극영화를 오가며 국군과 반란군의 역사적인 밤을 생중계한다.
무리수까지 역이용하다
사실 전격전은 여러 무리수를 낳는다. 일단 캐릭터가 하나같이 평면적으로 묘사되고, 그저 장기짝으로 이용된다. 전두광의 경우 앞뒤 가리지 않고 권력만 좇는 악인 그 이상 그 이하도 아니다. 이태신은 대쪽같이 원리 원칙만 쫓는 인물이다. 그들은 두 진영의 충돌을 보여줄 뿐이다. 그들의 인간적인 고뇌는 거의 드러나지 않는다. 똑같이 패배하는 역사를 다뤘고, 두 인물의 갈등에 초점을 맞춘 <남한산성>과 비교하면 그 차이는 명백하다.
또 전두광, 노태돈, 이태신, 김준엽, 공수혁 다섯 캐릭터를 빼면 반군이든 국군이든 수동적이다. 도망치기 바빠서 직무를 유기한 국방부 장관, 전두광의 영도 없이는 아무런 대책도 못 내놓는 반군 장성, 상황 파악도 못하고 선제 조치를 못 취하는 국군 장성, 국군 통수권자로서 군을 통솔할 생각조차 안 하는 대통령까지. 총체적 난국이다. 그러니 위기가 고조될 때마다 억지로 고구마를 입에 쑤셔 넣는 느낌이 들어도 이상하지 않다.
그런데 신기하게도 <서울의 봄>은 쌓아 올린 긴장감과 분위기를 한 순간도 무너뜨리지 않는다. 답답하고, 스트레스 지수는 높아지지만 작위적이라거나 과하다는 인상은 없다. 두 가지 이유가 있다. 일단 조연 캐릭터의 무능은 실화를 묘사했다는 변호가 가능하다. 국방부 장관 '오국상'(김의성) 등의 행적은 모티브가 된 실제 인물의 행적과 큰 차이가 없기 때문. 오히려 이 대목은 블랙 코미디로서 분위기를 환기하는 기능도 맡는다.
곱씹을 대상은 전두환이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