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TBC 드라마 <힘쎈여자 강남순> 스틸 이미지
JTBC
'힘 쎈 여자'들을 동경했다. 가장 먼저 흠모했던 '힘 쎈 여자'는 세미 사이보그 '소머즈'였다. '으드드드' 하는 효과음이 나면 괴력 발산 타이밍이다. 그 소리에 얼마나 전율했던지. 다음은 슈퍼 헤로인 '원더우먼'이었다. 갤 가돗의 영화 <원더우먼>의 효시가 된 1970년대 미국 드라마 주인공 '원더우먼'을 말한다. 저 세상 외모로 뿜어내는 괴력은 내 어린 넋을 빼놓곤 했다. 그때부터 나는 여자는 참해야 한다는 가부장의 주문을 은밀히 내팽개치고 있었다.
그런들 뭐 하나. 결혼, 출산, 양육, 끝없는 돌봄으로 점철된 내 인생은 만성 피로로 '힘 쎈 여자'는 커녕 힘 있는 여자와도 멀어졌다. 그렇게 잊고 있던 '힘 쎈 여자'가 재소환된 건 JTBC 드라마 <힘쎈여자 도봉순>을 통해서였다. 작고 여리고 귀여운 젊은 여자가 괴력을 주체하지 못해 고군분투하는 드라마였다.
'힘 쎈 여자'를 동경하는 정체성에 스위치가 다시 켜졌다. 힘 자랑하는 악당들을 한 방에 혼내주는 도봉순(박보영 분)에게 빠져들었다. 그러다 도봉순이 연애에 돌입하며 내 사랑은 빠르게 식었다. 내 영웅이 가부장을 수호하는 이성애 질서로 회귀했기 때문이었다.
오, 그런데 도봉순을 고순도 업그레이드한 슈퍼 버전 '힘 쎈 여자'가 등장했다. 이름하여 <힘쎈여자 강남순>이다. 강남순(이유미 분)은 괴력의 모계 혈통을 이어받은 슈퍼파워다. 할머니부터 엄마까지 괴력의 소유자며, 어마어마한 힘으로 업계를 평정하고 자수성가한 걸출한 인물들이다.
도봉순의 엄마가 대물림한 자신의 괴력을 부끄러워하고 저주한 반면, 남순 가의 여자들은 어떤 콤플렉스도 없으며 괴력을 쉬쉬하지도 않는다. 애초 여자다움을 요구하는 가부장의 질서 자체에 콧방귀도 뀌지 않는다. 대항하며 깨부수는 전략이 아니라, 아예 상대하지 않음으로써 낙후시키는 고단수 젠더 전복 전략이랄까. 조금 더 오버해 보자면, <이갈리아의 딸들>이 구현한 젠더 전복이라는 전제를 현대 한국에 코믹하게 이전시켰다고 할 수 있겠다.
이런 설정 아래 드라마는 2017년 도봉순이 겪은 내면의 젠더 갈등 자체를 옛이야기로 만들면서 곧바로 2023년 '힘 쎈 여자'가 나아갈 길로 진입한다. "세상을 구하자"는 슬로건을 내걸고 영웅으로서의 활약을 정의롭게 수행하려고 한다. 디즈니 드라마 <무빙>의 슈퍼파워들이 권력에 이용당하며 위기를 통해 영웅으로 처절하게 거듭났다면(무빙의 초능력자들은 모두 착하고 의롭지만 남초 성비는 문제적이다), 남순 가의 초능력자들은 타고난 괴력이 이용당할 위험한 무엇이라거나 숨겨야 할 무엇이란 전제 자체를 지우고 나아간다. 능력을 드러냄에 두려움이 없고 이를 활용해 거머쥔 재력으로 영웅 되기를 실현한다.
해서 남순이 부모를 잃고 몽골에서 자란 유년의 과정이나, 성인이 되어 부모를 찾아 혈혈단신 한국에 입국해 부모를 상봉하는 과정은 최소화한다. 바로 세상의 재난에 뛰어들어 사람을 구하는 미션에 돌입한다. 모녀 상봉조차 기존의 눈물 콧물 빼는 진부한 재회가 아니라, 화재 현장에 뛰어들어 사람을 구하는 영웅 수행으로 대체한다.
'힘 쎈 여자'들의 정의로운 힘 활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