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C <연인> 한 장면.
MBC
사대부 가문의 부인으로 평온하게 살았던 주인공 길채(안은진 분)도 예외가 아니었다. 병자호란 뒤에 집 밖을 나섰다가 갑작스레 납치된 그는 전혀 생각지도 못한 청나라로 끌려가는 몸이 됐다. 청나라로 보내졌다가 도망친 뒤 청나라로 다시 송환되는 사람들의 대열에 그도 합류하게 됐다.
자신은 양반가 여성이며, 끌려갔다가 도주한 적이 없다고 길채는 통사정을 해보았다. 하지만 호소는 먹혀들지 않았다. 청나라 측도 그처럼 애매한 피해자가 많다는 것을 모르지 않았다. 그렇게 해서 낯선 이국 땅에 끌려간 길채는 청 황족의 잠자리 시중을 들어야 할 상황으로까지 내몰리게 됐다.
남편이자 무관인 구원무(지승현)는 처음에는 길채가 옛 연인인 이장현(남궁민 분)을 찾아 일부러 집을 나간 것으로 오해했다. 그랬다가 실상을 알게 된 뒤 부인을 찾아 나설 준비를 서두르게 됐다.
드라마 속의 구원무처럼 의리 있는 남편들은 실제로는 거의 없었다. 특히 사대부 남성들은 그랬다. 조선의 사회체제는 양반가 남성들이 그런 상황에서 적극성을 발휘하는 데에 제약이 됐다.
음력으로 효종 즉위년 11월 21일자(양력 1649년 12월 24일자) <효종실록>에는 검찰청에 해당하는 사헌부가 효종 임금 앞에서 송나라 유학자인 정명도·정이천 형제을 거론하는 대목이 나온다. 사헌부는 이 형제를 지칭하는 정자(程子)를 언급하면서 "절개를 잃은 이를 아내로 맞아 배필로 삼는 것은 절개를 잃는 것이다"라는 것이 정자의 가르침이라고 역설했다.
이 장면에서 나타나듯이 유교 사대부들은 절개를 잃은 여성과 함께 사는 남성도 절개를 잃은 사람으로 간주하려 했다. 그랬기 때문에 <연인>의 구원무처럼 청나라에 끌려간 부인을 구출하려고 행동에 나서는 사대부 남성은 드물었다.
그 같은 사회 분위기는 전쟁 상황에 처한 사대부 여성들에게 이중의 고통을 안겨줬다. 전쟁의 참화로부터 자신과 가족의 신변을 지키는 것 못지않게, 유학자들이 정절이라고 말하는 것을 지키는 데도 동시에 신경을 쓰지 않으면 안 되었다.
광해군 때인 1617년에 <삼강행실도> 및 <속삼강행실도>의 속편으로 간행된 <동국신속삼강행실도>는 그 같은 이중고를 역설적으로 보여준다. 이 책에서는 임진왜란(1592~1598) 때 민간인 신분으로 충신·효자·열녀로 공식 지정돼 집 앞에 정문(旌門)이 세워진 사람들을 확인할 수 있다.
이들의 숫자를 통계로 정리한 이숭녕 서울대 교수의 논문 <임진왜란과 민간인 피해에 대하여 - <동국신속삼강행실>의 피해 보고서적(報告書的) 자료를 중심으로 하여>는 충신·효자를 위해 세운 정문보다 열녀를 위해 세운 열녀문이 훨씬 많았음을 알려준다.
1962년 6월 <역사학보>에 실린 이 논문에 따르면, 순수 민간인 신분으로 정문이 세워진 434명 중에서 효자와 충신은 각각 67명과 11명이다. 나머지 356명은 열녀들이었다. 민간인 신분으로 사후에 표창된 사람의 대부분은 일본군의 전시 폭력 앞에서 죽음을 불사한 여성들이었던 것이다.
통계가 상황을 다 보여주는 것은 아니지만, 조선시대 여성들이 정절에 관한 사회적 요구에 대해 얼마나 주의를 기울이며 살았는지를 이 통계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일본군 병사들의 전쟁범죄 앞에서 죽음을 불사하게 만드는 혹독한 사회 분위기도 느낄 수 있다. 살아서 돌아가 수모를 겪느니 차라리 여기서 죽는 게 낫다는 심리가 그런 선택을 강요하는 기제가 됐으리라는 생각도 해보게 된다.
선조의 이혼 불허 정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