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영화의 변경에서 마침내 국내 상륙한 거장의 최신 역작
어떤 종류의 특별한 영화들은 볼 때는 좋았는데 막상 정리해서 남기려 하면 무진장 힘든 경우에 속하곤 한다. 한 당나귀의 여정을 담은 < 당나귀 EO >(이하 EO)는 근래 접해본 영화들 중 가장 그런 부류에 부합되는 작업이다.
이 영화에 대해 어설프게 무성의한 글을 쓴다는 건 뭔가 영화 속 주인공에게 죄를 짓는 것 같다는 기분이 거듭 들었다. 영화를 계속 보기 위해선 먼저 본 영화의 감상을 일정부분 덜어내야만 한다. 그래야만 그 머릿속 빈자리에 다음 영화를 채워 넣을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 과정에서 딱 랙에 걸려버리면 다른 영화를 감히 볼 수도 없고, 그렇다고 앞선 영화를 요약하는 것도 불가능해진다. 현실에서 급한 볼일 때문에 택시를 타고 고가대로를 탔는데 딱 출구 진입로에서 병목현상에 걸려 발을 동동 구르며 난관에 봉착한 꼴이다.
< EO >를 보고 난 소감이 딱 그랬다. 근 하루 내내 이 영화를 보고 나서 다른 일을 못하는 지경이 되고야 말았다. 머릿속에선 몰입해서 봤던 영화가 무수한 이미지와 단상을 더해가며 소용돌이치는데, 이를 끄집어내 남들과 나눌 수 있도록 옮기는 건 너무나 어려웠다. 실로 환장할 노릇이다.
(우리에게만 유독 덜 알려진) 폴란드의 1938년생(!) 거장 예르지 스콜리모프스키 감독의 장구한 작품목록에서 공교롭게도 본 작품은 국내에 최초로 정식 개봉하는 사례다. 대체 지금껏 왜 한 편도 개봉하지 못한 걸까 하는 의구심이 파도처럼 밀려든다. 사실 감독의 영화를 영화제에서는 종종 접해 왔었기 때문에 개인적으로 미 개봉 관련 체감은 상대적으로 덜하지만, 절대다수의 국내 관객에게 이 거장 칭호 아깝지 않은 감독의 흥미로운 작업들이 우연히 접할 기회도 제공되지 않았다는 건 퍽 불공평한 일이 아닐 수 없다. 유럽영화의 변방에서 오랫동안 무시당해온 폴란드 영화의 저평가와 연결해 생각할 지점도 있음직하다. 그리고 감독과 그의 영화가 국내에서 처해온 기구한 상황은 고스란히 영화 속 주인공 EO의 운명과도 통하듯 다가와 버린다.
감독의 영화가 국내에서 특히 부당할 만큼 과소평가되어 왔던 지라, 본 작품 역시 과연 얼마나 재평가될 지는 (요즘 한국 극장가 상황을 볼 때) 솔직히 의문이다. 그러나 < EO >의 마지막 장면을 보고 나서 맥이 탁 풀렸다. 이번만은 온당한 대접을 받을 수 있길 고대하게 된다. 그만큼 본 작품이 실로 엄청난 괴력을 뿜어냈기 때문이다. 아마 한동안 이 영화의 이미지가 마치 머리 한 구석에 박힌 쐐기처럼 각인될 수밖에 없을 운명이다. 하지만 이를 기꺼이 받아들일 생각이다. 그만큼 이 영화의 위력은 압도적이다.
인간의 잣대로만 재단당하는 동물들의 운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