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실의 시대'를 살아가는 청년세대의 그림자
우스갯소리로 예전 30살과 지금 30살의 차이를 비교하는 캐리커처가 온라인 곳곳에 떠도는 중이다. 부모세대가 30살 전후일 때는 거의 대부분 결혼해 '정상가정'을 이루고 평생직장에서 몇 년째 열심히 일하면 작은 집과 차를 소유할 수 있었다. 비록 주공아파트에 경차라도 말이다. 즉 그 나이 쯤 되어 '낙오자' 취급 받지 않는다면 인생궤도에 안착된 시기로 묘사되던 셈이다. 당시엔 '공돌이'라 불렸다지만 지금은 선망의 대상이 된 대공장 제조업 정규직 일자리가 열려 있던 시절이라 가능했던 일이긴 하다.
반면에 작금의 청년세대는 30살이 되었더라도 미래가 불투명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안정적 직장에 취업하기만 해도 인생 대성공으로 취급될 정도다. 그만큼 취업절벽은 가팔라졌고 노동시장에서 평생고용은 전설처럼 사라진 지 오래다. 부동산 가격 폭등으로 대도시 아파트 가격은 평생 벌어들일 근로소득 몽땅 투입해도 감당하지 못할 수준이 되고 말았다. 그럼 대체 누가 저 아파트를 구입할 수 있는 걸까? 의문을 품을 틈도 없다. 현 세대에게 내 집 마련 꿈은 언감생심 불가능한 영역처럼 치부되며 희미해졌다. '하우스 푸어', '카 푸어' 등 온갖 'OO 푸어'가 그 실체도 모호한 가운데 SNS세계를 떠돈다. 상대적 박탈감과 자조만이 횡행할 따름이다.
사실 전체적인 사회적 부는 늘어나고 물질적 생활은 과거에 비해 풍요로워진 게 엄연한 사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온통 우리 주변을 뒤덮은 형국인 이런 좌절감과 정체현상은 비단 한국사회에만 해당되는 상황도 아니다. 흔히 '1세계' 혹은 '선진국'이라 불리는 지구촌의 밝은 영역들, 유럽과 일본, 북미 지역에서 전반적으로 벌어지는 풍경이다. 기성세대는 자신들의 과거에 비해 열정도 패기도 포부도 보여주지 않는다며 자녀세대를 질타하거나 무시하기 십상이다. 자신들이 처했던 시대적 배경과 현재 청년세대가 감당해야 하는 사회적 부담이 확연히 다른 지점을 배제한 고정관념의 산물이기에 대화를 통한 소통이 불가능에 가깝다.
반대로 청년세대는 이미 기성세대가 사회 분야별 결정권과 알짜 자리란 자리는 다 틀어쥐고 자신들은 별다른 재량도 변화도 기대할 수 없는 상황에 대해 볼멘소리를 한다. 3세계 후진국 난민 같은 열악한 처지를 돌아보라는 공허한 기성세대의 일갈은 귀에 들어오지 않는다. 당장 주변에서 목격되는 상대적 빈곤이 더 눈에 잘 들어오게 마련이다. 먹고 사는데 어찌어찌 기본적인 수요는 충족할 수 있지만 추가로 더 노력한다고 딱히 기회가 부여될 것 같지 않은 막막함이 회색빛 그림처럼 따라붙는다. '영국병'이라는 표현은 한국사회에서도 요즘 세태를 부정적으로 묘사할 때 자주 대충 끼워 맞춰 쓰이곤 한다. 하지만 제대로 검증된 분석과 고찰보다는 진영논리에 따라 영국의 현재 풍경을 양극단에서 다루는 게 일반적이다. 그런 가운데 찾아온 <스크래퍼>는 사회고발영화와는 거리가 멀지만 해당 영화 속 풍경에 숨겨진 요소들은 그 공허한 개념에 실마리를 제공할 만한 잠재력을 감추고 있다.
엄마를 여읜 12살 소녀의 세계에 어느 날 '친부'가 들이닥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