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저 개인적인 경험을 소개하자면, 지난해 한 독립영화전용관에서 영화제 이름을 빌린 특별 상영회를 직접 개최하고 진행했다. 멀티플렉스 내 상영관 1개관을 4차례에 걸쳐 대관한 행사였다. 전체로 따지면 6~70% 좌석이 찼다. 4회 상영은 성공적이었고, 그 기록은 영화진흥위원회 통합전산망에 남았다. 물론 예매와 현매를 포함해 극장에서 티켓을 발권한 관객의 숫자만이 기록됐다.
그렇다. 통합전산망은 아무리 관객이 객석을 꽉 채웠다고 하더라도 발권을 한 관객들만 숫자로 기록한다. 실 관객 수와 통합전산망 관객 수가 일치하지 않는 셈이다. 극장 대관 행사의 종류는 그래서 티켓의 발권 유무로 나눌 수 있다. 극장 개봉 영화의 경우, 티켓을 발권해야 통합전산망 상 누적 관객수를 더할 수 있다. 독립예술영화를 중심으로 활발하게 진행 중인 공동체 상영 또한 되도록 티켓을 발권하는 것도 그래서다.
언론이나 배급사를 대상으로 하는 언론·배급 시사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배급사가 적개는 1개관에서 많게는 몇 개관까지 대관을 하고 전석의 티켓을 발권한다. 언론 시사도 개봉 전 시사회 형식이지만 발권을 했기에 통합전산망 누적 관객 수에도 포함된다. 그렇다면 언론 시사는 매번 만석일까. 그럴 리 없다. 참석한 기자가 적을수록 빈 좌석이 늘 수밖에 없다.
하지만 통합전산망엔 그 빈 좌석들도 누적 관객 수에 포함된다. 배급사 측이 전석의 티켓을 발권했기 때문이다. 이 역시 실 관객 수와 통합전산망 관객 수가 불일치하는 경우다. 하지만 이를 문제 삼는 사람은 거의 없다. 업계 관행이자 모든 배급사와 제작사들이 같은 형태를 취하기 때문이다.
물론, 배급의 영역은 전적으로 투자와 자본의 영역이다. 시사회를 크게, 많이 여는 쪽이 시사회를 통한 누적 관객수 부풀리기에 유리하다. 개봉 전 시사 형태를 배급사들이 버리지 못하는 요인도 크게 다르지 않다. 홍보용 관람권의 유혹도 바로 그런 요인 중 하나에 해당한다.
구구절절 통합전산망과 실 관객 수의 불일치나 영화계 관행을 설명한 건 짐작하다시피 경찰이 이 관행을 문제 삼고 나서서다. 지난 16일 서울경찰청 반부패·공공범죄수사대는 CGV·롯데시네마·메가박스 멀티플렉스 3개사와 배급사 24개 업체 관계자 69명을 업무방해 혐의로 검찰에 불구속 송치했다고 밝혔다. 전례 없고 광범위한 수사가 아닐 수 없다. 수사의 출발점부터 짚어보자.
<비상선언>으로 촉발된 영화계 수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