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장의 객단가를 후하게 4800원씩으로 잡더라도, 2700만 명의 관객이 영화를 봐야 손익분기점에 달할 수 있다. 6편이 평균 450만명이 들어야 돈을 벌 수 있다는 얘기다. 지난해 8월(1214만3천명)의 수준으로 관객이 극장을 찾는다면, 투자자들은 엄청난 손실을 볼 수 있다. 투자금이 회수되어야 다시 제작비로 투자되기 마련. 영화 업계의 투자 선순환은 이어질 수 있을까." - 김동하 한성대 미래융합사회과학대학 교수, 트윈플러스파트너스 대표, 지난 7월 <시사저널e>, <韓영화 빅6, 1300억 '하투(夏鬪)'가 두렵다> 칼럼 중에서
어느 영화인의 근심은 설득력이 있었다. 아마도 올 여름 빅4로 일컬어지는 <밀수>, <비공식작전>, <더 문>, <콘트리트 유토피아>의 3주간 개봉 릴레이를 지켜보는 영화인들의 심정이 다 비슷했을 것이다. 과연 메이저 투자배급사들의 텐트폴 영화 출혈 경쟁은 위기의 한국영화를 구원할 수 있을 것인가.
여기에 유해진을 내세운 <달짝지근해: 7510>과 배우 정우성의 감독 데뷔작 <보호자>도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의 <오펜하이머>와 함께 15일 나란히 개봉한다. 물경 1300억이란 비용을 4주간 개봉하는 6편의 영화를 통해 극장가에 쏟아 부은 셈이 됐다. 말 그대로 출혈 경쟁이 맞다.
그런데 어쩌나. 9일 개봉한 <콘트리트 유토피아>는 개봉 이틀째인 10일까지 누적 관객 41만 명을 돌파하며 선전 중이다. 그럼에도 2700만 동원은 어지간히 언감생심인 듯 싶다. 선두를 달리는 <밀수>는 400만 돌파를 목전에 둔 반면 <비공식 작전>은 85만에 그치는 부진을 보였다. <더 문>은 더 충격적이다. 280억짜리 우주 SF영화를 극장에서 본 관객은 고작 43만 명이었다.
<콘크리트 유토피아>와 <달짝지근해: 7510>, <보호자>가 학생 관객들의 방학이 끝나는 시점까지 선전을 해 준다 해도 2700만은커녕 <밀수> 외에 손익분기점을 넘기는 영화들이 얼마나 더 추가될 수 있을지도 미지수다. 투자배급사도, 극장도 울상을 지을 만한 현실이 펼쳐지는 중이다.
할인 경쟁에 나선 극장들이 객단가를 낮추면서까지 지갑을 열지 않는 관객들을 대상으로 호객에 나서고 있지만 그마저도 공들여 영화를 만든 제작자들의 수익을 개선하는 데는 별 도움이 될 것 같지 않아 보인다. 관객들은 그만큼 요지부동이다.
<밀수>와 <비공식 작전>의 경우
그럼에도 빅4를 둘러싼 반응과 평가를 복기하는 일은 의미를 지닐 것이다. 결과론적인 평가라기보다 관객들이 달라진 잣대를 냉정하게 돌아보고 반면교사 삼는 일이 절실한 시점이기 때문이다.